이카네 집

각막 혼탁이란? + 주요 원인 총정리 본문

이카네 일상/데일리 스토리

각막 혼탁이란? + 주요 원인 총정리

별뜨락 2025. 6. 7. 00:23

각막 혼탁이란?

우리 눈의 가장 바깥에 위치한 각막은 투명하고 매끄러운 구조로, 빛을 눈 안으로 통과시켜 망막에 선명한 상이 맺히도록 도와주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런데 이 각막에 흰색의 혼탁이나 반흔이 생기면 시력이 떨어지고 눈이 뿌옇게 보일 수 있습니다. 이를 각막 혼탁 또는 각막 반흔이라고 부릅니다.

각막 혼탁

 

각막 혼탁의 원인: 선천성과 후천성으로 나뉘어요

✅ 선천적 원인

태아의 눈이 자궁 내에서 발달하는 과정에서 전안부(안구 앞쪽)에 이상이 생겨 발생합니다. 대표적인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 악센펠트 증후군
  • 피터이상(Peter's anomaly)

이러한 질환은 드물지만 선천적으로 각막에 혼탁이 생기게 할 수 있습니다.

✅ 후천적 원인

출생 이후 외상, 염증, 수술 등의 다양한 요인으로 각막에 손상이 생겨 혼탁이 남는 경우입니다.

  • 콘택트렌즈 관리 소홀로 인한 감염
  • 나뭇가지나 연필심 등에 찔리는 외상
  • 여러 번 받은 눈 수술 후유증
  • 각막이영양증 같은 유전성 질환

📌 서울대병원 연구에 따르면 각막혼탁의 절반 이상이 외상에 의해 발생한다고 보고됐습니다.

 

어떤 증상이 나타날까요?

  • 시력 저하
  • 빛 번짐, 흐림
  • 난시 발생
  • 하얗고 탁한 각막으로 인한 외관상 문제

특히 혼탁이 동공을 덮는 중심부에 생기면 시력에 더 큰 영향을 미치며, 주변부에 생기면 상대적으로 시력 영향은 덜합니다.

 

진단은 어떻게 할까요?

  1. 세극등 현미경 검사: 각막의 상태를 자세히 관찰
  2. 각막지형도 및 빛간섭단층촬영(OCT): 혼탁의 깊이, 두께, 굴절 이상 등을 확인
  3. 굴절검사: 난시나 시력저하 확인

 

치료는 가능한가요?

1. 각막 이식

  • 심한 시력 저하가 있는 경우 시행
  • 혼탁 부위를 투명한 기증 각막으로 교체
  • 성공률은 높지만, 이식 후 거부 반응 주의 필요

2. 각막 문신술

  • 시력 회복은 어렵지만 미용적 개선 목적
  • 혼탁 부위를 검게 덮어주는 수술

3. 홍채 렌즈 착용

  • 미용과 기능을 동시에 고려
  • 관리가 중요하며 감염 예방 필요

 

합병증과 경과는 어떤가요?

  • 혼탁이 깊거나 중심부에 위치하면 시력에 큰 영향을 줍니다.
  • 각막 이식 후 거부 반응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혼탁이 재발하거나 통증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예방은 어떻게 하나요?

⚠️ 외상 예방이 가장 중요!

  • 공구 작업, 잔디깎기, 캠핑 시 보안경 착용 필수
  • 아이들은 연필이나 날카로운 물건 주의

⚠️ 감염 예방

  • 콘택트렌즈 위생 철저히 관리
  • 눈에 이상 있으면 즉시 안과 방문

 

생활 가이드 및 주의사항

  • 눈에 이상이 있으면 방치하지 말고 안과 진료
  • 저시력으로 인한 사회적 불편과 심리적 위축을 주변에서 이해하고 지지해 주세요
  • 각막 혼탁이 있는 경우 라식, 라섹 등의 수술은 제한될 수 있어, 안과 전문의 상담이 필수입니다

 

마무리: 각막 혼탁, 조기 진단과 예방이 핵심!

각막 혼탁은 시력 저하뿐만 아니라 미용적으로도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다행히 정기적인 안과 검진과 생활 속 예방으로 충분히 줄일 수 있는 질환입니다. 눈에 이상이 느껴진다면 지체 없이 안과를 방문하세요!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