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카네 집

고칼륨혈증이란?|원인, 증상, 치료, 식이요법까지 총정리 본문

이카네 일상/데일리 스토리

고칼륨혈증이란?|원인, 증상, 치료, 식이요법까지 총정리

별뜨락 2025. 7. 3. 08:32

고칼륨혈증(Hyperkalemia)은 혈중 칼륨 농도가 정상치(3.5~5.5 mmol/L)를 초과한 상태를 말합니다. 칼륨은 우리 몸에서 전기적 활동, 세포 기능, 근육 및 심장 리듬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그 농도가 높아지면 심각한 건강 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 고칼륨혈증의 정의

칼륨은 세포 내에 주로 존재하며, 체내 산-염기 균형, 전기적 신호 전달, 단백질 및 글리코겐 합성, 세포 용적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정상적인 혈청 칼륨 농도는 3.5~5.5 mmol/L이며, 이를 초과하면 고칼륨혈증으로 진단합니다.


🧬 고칼륨혈증의 원인

원인설명
신부전 신장의 칼륨 배설 기능 저하
호르몬 이상 알도스테론 결핍 등
대사성 산증 체내 산도 증가로 칼륨이 세포 밖으로
세포 손상 이화작용 증가, 근육 손상
약물 칼륨 보존성 이뇨제, ACE 억제제 등
검사 오류 용혈, 압박대 사용 등으로 인한 가성 고칼륨혈증
 

💡 가성 고칼륨혈증은 검사 중 실수로 인해 수치가 높게 나오는 경우입니다. 백혈병이나 혈소판 과다증 환자에서 자주 나타날 수 있습니다.


❗ 고칼륨혈증의 증상

대부분 초기에는 무증상이지만, 칼륨 수치가 높아질수록 증상이 명확해집니다.

대표 증상

  • 전신 무력감, 근육 약화
  • 마비 증상 (심한 경우)
  • 심전도 이상, 심한 경우 부정맥, 심정지

⚠️ 증상의 유무는 반드시 수치의 높이와 비례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혈액 검사로 조기 확인이 중요합니다.


🔍 진단 방법

  • 혈액 검사: 혈청 칼륨 수치 측정
  • 심전도(ECG): 칼륨 농도가 심장 박동에 영향을 줄 수 있어 부정맥 여부 확인
  • 가성 고칼륨혈증 감별을 위한 재검사 및 병력 청취

💊 고칼륨혈증의 치료

1. 응급치료 (중증 고칼륨혈증)

  • 글루콘산 칼슘: 심장 보호
  • 인슐린 + 포도당: 칼륨을 세포 내로 이동시킴
  • 중탄산나트륨: 산-염기 조절
  • 칼륨 교환 수지: 장내 칼륨 제거
  • 혈액 투석: 가장 빠른 칼륨 제거법 (주로 신부전 환자)

2. 원인 교정 및 장기적 관리

  • 신기능 평가약물 조정
  • 식이 조절: 칼륨 섭취 제한

🍽 고칼륨혈증 식이요법 가이드

음식 종류피해야 할 고칼륨 식품
곡류 잡곡밥, 현미 → 흰쌀밥 추천
채소 시금치, 고구마순, 미역, 김, 다시마 등
과일 바나나, 키위, 오렌지, 멜론, 말린 과일
간식 감자, 고구마, 옥수수, 견과류, 과일주스
기타 된장국, 김치, 인스턴트식품 등 염분 높은 식품 (칼륨 상승 유도 가능성 있음)
 

📌 채소는 삶은 후 물에 우려서 먹기, 과일은 양 제한 필수
📌 영양사와 상담 후 식단 조절하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 고칼륨혈증의 경과 및 합병증

  • 경증 고칼륨혈증: 식이 조절로 조절 가능
  • 중증 고칼륨혈증: 심장 정지 등 치명적인 상황 유발 가능
  • 만성 고칼륨혈증: 지속적 노출 시 근육 마비, 심부전 등 합병증 가능

✅ 고칼륨혈증 예방방법

  • 정기적인 혈액 검사로 조기 진단
  • 신장 질환자는 식이관리 및 약물 복용 주의
  • 칼륨이 많은 음식 섭취 줄이기
  • 고칼륨 유발약물 사용 시 의료진 상담 필수

📝 결론

고칼륨혈증은 단순한 전해질 이상을 넘어, 심각한 심장 및 신경계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는 질환입니다. 특히 신장 기능이 저하된 환자는 더욱 주의가 필요합니다.

식이조절, 정기검진, 약물 관리를 통해 충분히 예방 및 치료가 가능한 질환이니, 주기적인 건강관리로 칼륨 수치를 정상 범위로 유지하시길 바랍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