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카네 집

[통합 사회] 시대에 따른 행복의 기준, 지역에 따른 행복의 기준 본문

이카네 공부법

[통합 사회] 시대에 따른 행복의 기준, 지역에 따른 행복의 기준

별뜨락 2022. 3. 10. 21:39

어떤 삶이 행복한 삶일까요? 사회적 성공, 경제적 부, 자아실현, 좋아하는 일을 하는 것, 여행하는 것 등 사람들은 저마다 행복에 대해 느끼는 게 달라요.

그러니 시대와 지역에 따른 행복의 기준도 제각각이겠죠?

 

여기에서는 '시대에 따른 행복의 기준'과 '지역에 따른 행복의 기준'을 정리해 놓았는데요,

이 내용은 사회통합 과목의 소단원인 '행복의 의미와 기준'에 속하는 내용이에요. 

모쪼록 사회통합 공부를 하시는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지금부터 내용 들어갑니다~

 

 

   행복의 의미와 기준

행복이란 과연 무엇일까요? 행복의 의미에 대해 사전적 의미, 일반적 의미로 나누어 살펴보면 아래와 같아요.

1) '행복'의 사전적 의미 : 행복이란, 삶에서 충분한 만족과 기쁨을 느끼어 흐뭇한 상태를 말합니다.

2) '행복'의 일반적 의미 : 우리가 그 자체로 선택하고 추구하는 삶의 목적입니다.

 

행복의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으니, 행복의 기준을 알아볼 차례입니다.

   시대에 따른 행복의 기준

선사 시대 선사 시대에는 생존을 위해 먹을 것을 얻는 것이 매우 중요한 일이었어요. 따라서 이 시기의 '행복'은 '행운'의 의미와 거의 같아요. '우연한 기회에 운 좋게 나에게 주어진 것'이 바로 행복이었답니다.
고대 그리스 시대 행복이란 철학이라는 지적인 활동을 통해 지혜를 얻는 것이라 여겼습니다.
헬레니즘 시대 헬레니즘은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제국 건설 이후 고대 그리스 뒤에 나타난 문명이에요. 이 시대의 사람들은 전쟁과 사회적 혼란의 불안에서 벗어나 마음의 평온을 얻는 게 행복이라 생각했습니다.
중세 시대 중세 시대에는 신앙을 통해 종교적 절대자에게 귀의 또는 군주에게 복종해 그 뜻을 따르는 게 행복이라 믿었습니다.
일제 강점기 시대 빼앗긴 주권을 되찾아 독립을 이루는 것을 행복이라 여겼습니다.
산업화 이후 ~ 오늘날 -물질적 기반이 확보되고 민주화로 개인 권리 보장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행복을 인간의 노력으로 성취 가능한 것이라 인식했습니다.
-주관적 만족감이 중시되었기 때문에 행복의 기준이 과거보다 복잡, 다양해졌습니다.

 

 

   지역에 따른 행복의 기준

각 나라가 처한 상황, 추구하는 방향에 따라 행복의 기준은 바뀔 수가 있고요,

자연환경 (기후나 환경)이나 인문 환경 (종교, 정치, 사회, 경제 등)에 따라서도 행복의 기준이 달라질 수가 있습니다.

 

1)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상황이 열악한 지역

일부 서남아시아, 아프리카 등

--->정치적 갈등으로 인한 내전, 척박한 자연환경, 경제적 빈곤으로 기본적인 의식주를 해결하지 못하고
기아, 질병에 시달립니다.
==>행복의 기준은 정치적 안정, 경제적 발전입니다.

 

2) 정치, 경제 상황이 비교적 안정되어 있는 지역

북유럽, 미국, 일본 등

---> 소득 불평등 해결, 여가 및 문화생활 향유 
===> 행복의 기준은 삶의 질 향상에 중점을 둡니다.

 

3) 포괄적. 균형적인 행복 실현을 위해 노력하는 지역

부탄, 코스타리카 등

--> 행복의 기준을 경제적 츨면에만 두지 않습니다.
==> 공동체의 정치적 안정과 발전, 개발과 환경 보존의 조화, 구성원의 건강 등
포괄적. 균형적으로 국민 행복 실현을 위해 노력합니다.

 

   행복에 대한 다양한 사람들의 견해

아리스토테렐스
"행복이야말로 인간 존재의 목적이고 이유이다."
괴테
"기쁘게 일하고, 해 놓은 일을 기뻐하는 사람은 행복하다."
정약용
열복 - 가슴을 뜨겁게 해주는 화끈한 행복
청복 - 사소하지만 청아한 삶의 일상에서 얻는 행복으로 이것이 진정한 행복
링컨 
사람은 행복하기로 마음먹은 만큼 행복하다.
스피노자
행복은 덕의 보상이 아니라, 덕 그 자체이다.
쇼펜하우어
우리드의 행복을 위해 도움이 되는 것은 의심할 바 없이, 인간이 밖에 가지고 있는 것보다도 안에 가지고 있는 것이다.
칸트
-의무론 : 자신의 복지와 처지에 관해 만족하고 인간으로서 마땅히 지켜야 할 도덕 법칙을 실천하는 사람만이 행복을 누릴 자격이 있다는 견해
벤담과 밀
-공리주의 : 행복은 쾌락이므로 최대 다수에게 최대의 행복을 가지고 오는 행위를 해야 한다는 견해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