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청년정부지원금
- 베트남 하노이
- 주기율표
- 10월 프랑스 날씨
- 정부지원금신청방법
- 정부지원금 종류
- 청년도약계좌
- 10월 프랑스 옷차림
- 동화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 나는 몸신이다
- 2025 정부지원금
- 미세먼지
- 홍콩
- 베트남 다낭
- 2025 청년지원금
- 정부지원금종류
-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 태국
- 몸신
- 천기누설
- 청년지원금
- 청년내일저축계좌
- 베트남 여행
- 2025정부지원금
- 태국 치앙마이
- 청년 정부지원금
- 오곡밥
- 홍콩 여행
- 3.1운동 100주년
Archives
이카네 집
고산병이란?|원인, 증상, 예방법, 치료까지 한눈에 정리 본문
고산병(고산증, Altitude Sickness)은 해발 2,000~3,000m 이상의 고지대로 급격히 이동할 때, 희박한 산소 환경에 적응하지 못해 발생하는 급성 증후군입니다. 최근 등산, 트레킹, 힐링 여행이 늘면서 전문가뿐 아니라 일반인에게도 중요한 환경 질환으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 고산병의 원인
고도가 높아질수록 공기 중 산소 농도는 떨어지고, 우리 몸은 저산소 상태에 놓이게 됩니다. 이때 호흡 증가, 심박수 증가, 혈관 확장 등의 생리적 보상 반응이 일어나지만, 이 과정이 불완전하거나 과도하게 작동하면 고산병이 발생합니다.
고산병 발병 요인
- 갑작스러운 고도 상승
- 높은 고도에서의 과격한 신체 활동
- 개인의 순응력(적응력) 차이
- 수분 부족 및 저체온
🔍 고산병의 종류와 증상
1. 급성 산악병 (AMS)
- 발생 시점: 고지대 도착 후 6~24시간 이내
- 주요 증상:
- 이마 중심의 두통
- 메스꺼움, 구토, 식욕저하
- 피로감, 수면장애, 숨 가쁨, 소변 감소
2. 고산 뇌수종 (HACE)
- 증상:
- 보행 실조, 의식 저하, 혼수
- 치료 지연 시 12시간 내 사망 위험
3. 고산 폐수종 (HAPE)
- 초기: 마른기침, 운동 시 숨참
- 진행:
- 호흡곤란, 청색증, 거품 섞인 기침
- 안정 시 호흡곤란 및 의식 저하
🧪 고산병 진단
고산병은 특별한 검사보다 증상 확인이 중요합니다.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면 고산병을 의심해야 합니다:
- 고지대 이동 후 이마 통증이 지속된다
- 숨이 가쁘고 피곤한 상태가 계속된다
- 구토나 의식 저하가 동반된다
증상이 의심되면 즉시 등산을 중단하거나 하산해야 합니다.
💊 고산병의 치료 방법
🔹 1. 경한 급성 산악병
- 등산 중지, 휴식 또는 하산
- 아세타졸아미드(Acetazolamide) 125~250mg 1일 2회 복용
- 수분 보충
🔹 2. 중등도 이상
- 즉시 하산 + 산소 공급
- 아세타졸아미드 +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병용
🔹 3. 고산 뇌수종 (HACE)
- 긴급 하산
- 산소 치료(2~4L/min)
- 덱사메타손 8mg 초기 투여 후 4mg 1일 4회
🔹 4. 고산 폐수종 (HAPE)
- 하산 또는 산소 공급
- 니페디핀(Nifedipine) 10mg 1일 4~6회
- 산소 포화도 90% 이상 유지
- 양압 호흡, 알부테롤 흡입치료, 체온 유지
⚠ 고산병의 경과와 합병증
- 급성 산악병: 치료 시 대부분 회복
- 고산 뇌수종/폐수종: 빠른 대응 없으면 의식 저하, 사망까지 가능
고산병은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응급 상황으로 발전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예방과 조기 대응이 중요합니다.
🛡 고산병 예방방법
예방법설명
고도 적응 시간 확보 | 고지대 도착 후 충분한 휴식 |
등산 속도 조절 | 하루 300m 이상 상승은 피하기 |
아세타졸아미드 복용 | 등산 전부터 예방 복용 가능 |
수분 충분히 섭취 | 탈수 방지 |
무리한 활동 금지 | 특히 고도 변화 시 신체 스트레스 최소화 |
초기 증상 인지 시 즉시 하산 | 두통, 숨참, 메스꺼움 등 |
🍽 식이요법 및 생활관리
- 등산 전후 충분한 수분 섭취
- 알코올, 흡연, 각성제 섭취 금지
- 고지대 이동 전 고산병 관련 지식 숙지
- 잠은 충분히, 체온 유지는 기본
- 등산 전후 심폐기능 관리 및 건강검진 권장
📝 결론
고산병은 단순히 ‘두통’으로 시작하지만, 빠른 판단과 대처 없이는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고지대 여행이나 등산을 계획하고 있다면 반드시 사전 예방과 순응 준비를 하시고, 이상 증상이 나타날 경우 즉시 휴식 또는 하산이 가장 좋은 치료임을 기억하세요.
'이카네 일상 > 데일리 스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압산소요법이란?|치료 원리, 적용 질환, 부작용, 주의사항까지 총정리 (0) | 2025.06.30 |
---|---|
고소공포증이란?|원인부터 증상, 진단, 치료까지 총정리 (0) | 2025.06.29 |
고빌리루빈혈증이란?|원인부터 증상, 진단, 치료까지 황달의 핵심 정보 총정리 (0) | 2025.06.27 |
고막염이란?|원인, 증상, 진단, 치료, 예방법까지 총정리 (1) | 2025.06.26 |
고래회충증이란?|원인, 증상, 진단, 치료, 예방법 총정리 (1) | 2025.06.25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