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카네 집

가성근시란? 진성근시와 차이부터 증상, 치료, 예방법까지 한눈에 정리 본문

이카네 일상/데일리 스토리

가성근시란? 진성근시와 차이부터 증상, 치료, 예방법까지 한눈에 정리

별뜨락 2025. 6. 2. 11:18

가성근시란 무엇인가요?

가성근시(일시적 근시)는 눈이 피곤하거나 과도하게 가까운 곳을 오래 봤을 때 생기는 일시적인 근시 상태를 말합니다.

정상적인 경우, 멀리 볼 때는 수정체가 얇아지고, 가까운 것을 볼 때는 두꺼워져서 초점을 망막에 정확히 맺게 도와줍니다. 그러나 장시간 독서나 스마트폰, 컴퓨터, 게임 등을 하다 보면 눈의 초점 조절 근육(모양체 근육)이 계속 수축된 상태로 고정되면서 멀리 있는 사물이 흐릿하게 보이는 가성근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쉽게 말해: 눈이 너무 오랫동안 가까운 곳만 보다가 잠깐 멀리 볼 줄 모르게 된 상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가성근시 vs 진성근시, 어떻게 다를까요?

항목 가성근시 진성근시
원인 과도한 눈 조절력 눈의 구조적 문제 (안구 길이 증가 등)
발생 시기 주로 어린이, 청소년 연령 무관
회복 가능성 충분히 회복 가능 자연 회복 불가
치료 방법 생활습관 개선, 조절마비제 안경, 렌즈, 시력교정술 등

 

 

증상: 어떤 신호가 나타나나요?

  • 멀리 있는 것이 뿌옇게 보임 (원거리 시력 저하)
  • 눈 피로감, 뻑뻑함
  • 눈 주위 통증, 두통
  • 어지러움
  • 특히 책이나 화면을 오래 본 후 증상 악화
 

진단 방법: 단순 시력검사로는 알 수 없어요!

가성근시는 일반 시력검사로 구별이 어렵기 때문에 안과에서 다음과 같은 정밀 굴절검사를 통해 진단합니다:

✔ 현성 굴절검사

  • 조절력이 살아있는 상태에서 검사

✔ 조절마비 굴절검사

  • 조절마비제를 점안한 후 검사
  • 조절 근육을 쉬게 해서 진짜 굴절 상태 확인

 

두 검사의 결과 차이가 크다면 → 가성근시 가능성 높음

 

※ 특히 어린이나 청소년의 첫 안과 방문 시 조절마비 검사는 필수입니다!

 

치료 방법: 생활습관 + 필요 시 약물치료

1. 생활 습관 개선이 기본

  • 올바른 자세 유지 (책상-눈 거리 30cm 이상)
  • 밝은 조명 아래 독서 및 공부
  • 스마트폰 사용 시간 줄이기
  • 40분 근거리 작업 후 20분 눈 휴식

2. 조절마비제 안약 사용

  • 눈 조절 근육의 긴장을 풀어줌
  • 주로 밤에 1회 안약 사용으로 부작용 적음
  • 증상 심할 경우 안과 처방에 따라 사용

3. 교정 필요 시

  • 원시가 있는 경우 안경으로 교정
 

예방 방법: 생활 속 실천이 중요해요

  • 공부, 스마트폰, 게임 시 주기적 눈 휴식 필수
  • 눈과 화면 간 거리 유지 (30~40cm 이상)
  • 엎드려서 책 읽지 않기
  • 조명은 눈부시지 않게, 충분히 밝게
  • 학동기 아동은 정기적인 시력 검사 권장
 

식이요법/생활가이드

  • 가성근시에 특별히 좋은 음식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 생활 습관 관리가 핵심입니다.
  • 화면을 오래 보지 않도록 지도하고, 1시간 사용 후에는 반드시 눈을 쉬게 해주세요.
 

관련 질환

  • 진성 근시
  • 조절 장애
  • 안구 피로증후군
 

마무리 한 줄 요약

가성근시는 생활 습관만 잘 관리해도 충분히 예방하고 회복 가능한 근시입니다. 어린이나 학생의 시력 저하가 걱정된다면 단순 시력검사보다 정확한 굴절검사를 꼭 받아보세요!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