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카네 집

<책 리뷰>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본문

이카네 문화산책

<책 리뷰>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별뜨락 2019. 10. 5. 23:32


지칠 때마다 생각나는 싱아

<박완서 장편소설>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를 읽고


한 세대가 겪은 일을 오롯이 하나의 이야기로 담아내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어떤 사건들을 발췌하고, 줄이고, 떼어내야 하는 작업은 고도의 집중력과 생각이 바탕이 되어야만 가능한 일이다. 작가의 유년 시절부터 청년시절까지의 이야기를 재구성해낸 이 소설 역시 일제 강점기부터 6.25전쟁이 일어나는 동안 우리 사회에서 무엇이 생겨나고, 사라졌으며, 남았는지를 치열하게 고민한 흔적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내가 이 책을 처음 읽은 건, 20년도 더 전이다. 그 시절 나는 미숙하고 혼란스러워 갈팡질팡하던 청년이었다. IMF 구제금융 사태가 벌어지지 않았다면, 나의 청년기는 좀 더 편안했을까? 어쨌든 나는 불안한 미래를 내 스스로 결정해야 한다는 압박감으로 마음이 무거웠다. 그때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라는 제목이 나를 이끌었다. 싱아는 어릴 적 친구들과 산기슭에서 놀면서 호기심으로 따먹어 보던 식물이었기 때문이다. 그 시큼하고 재미있는 맛이 떠올라서 책을 집어 들었다가, 책 속의 이야기에 푹 빠져서 단숨에 읽어내려갔던 게 벌써 20년도 더 지났다.

아마도 음식이 범람하는 시대에 사는 요즘 아이들에게 싱아는 이름 모를 들풀에 불과할 것이다. 요즘 아이들에게 싱아 잎 하나 떼어주면서 먹어보라고 한다면, 어떻게 반응할까? 어쩌면 아이들은 기겁해서 멀리 도망가 버릴지도 모른다. 아니면 싱아 잎을 따준 이를 이상한 사람 취급하며 다시는 가까이 오려고 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주인공 에게 싱아는 무엇이었는가? 유년의 주인공의 미각을 깨워주던 싱아는 주인공에게 단순히 먹거리가 아니었다. 자연과 일상에서 얻어낸 싱아는 유년의 주인공에게 이웃이나 자연과 소통하는 매개이자 수단이었다. 다시 말해 박적골 시골마을에서 살던 주인공의 문화였고, 주인공은 그 문화를 통해 이웃, 자연에게 편안함과 친근함을 느낄 수 있던 것이다. 그 아이가 살아가던 시대가 일제 강점기였음에도 불과하고 말이다.

하지만 주인공은 계속해서 박적골에서 싱아를 따먹으며 살 수가 없게 되었다. 딸을 신여성으로 키우고야 말겠다는 어머니의 의지로 말미암아 서울살이를 시작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그 이후로 주인공에게 주어진 삶의 무대는 박적골이 아니라, 싱아를 따먹지 못해 속이 울렁거리고 어색한 도시가 되었고, 이때 주인공에게는 방황과 좌절을 향한 문이 슬며시 열렸다.

아마도 주인공의 어머니는 딸이 열심히 공부하기만 한다면, 딸의 신분과 지위를 스스로 결정할 수 있다고 믿었을 것이다. 그렇기에 딸이 공부를 할 수 있게끔 모든 방법을 동원했다. 어려운 형편에 서울로 이사를 가고, 주소를 위장해서 딸을 명문학교에 입학시킨 다음,

바느질을 하며 억척같이 살아냈다. 어머니는 자식들의 찬란한 미래를 위해 무거운 현재의 고통을 감내해냈다.

그러나 이 소설에서는 어머니의 바람과 자식들의 노력이 해피엔딩이 될 수 없는 필연적인 이유가 있다. 개인의 바람과 소망은 일제강점기와 6.25라는 거대한 소용돌이 속에서 결코 독자적일 수가 없기 때문이다.

세계의 구조는 개인의 운명을 결정하는 강력한 틀이며, 그걸 그 누구보다도 제대로 증명해낸 인물은, 주인공의 오빠였다. 주인공의 오빠는 어떤 사람이었는가? 그는 총명하며 바른 의지를 가진 청년이었다. 졸업을 하고 취직을 하면서 주인공의 집안 살림살이를 나아지게 한 인물도 오빠이다. 오빠는 창씨개명을 하자는 집안 어른들에게 맞서며 뜻을 굽히지 않던 면모를 지니기도 했다. 주인공 는 그렇게 똑똑하고 강한 오빠를 믿음직스러워했으며 좋아했다.

하지만 그런 오빠에게도 예기치 못한 운명의 요소들이 도사리고 있었다. 조선의 젊은이들이 일본의 전쟁터로 끌려 나가고, 식량사정이 점점 나빠지다가, 해방이 되었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발발한 6.25전쟁. 그때 우리는 좌우가 서로 대립되어 서로가 서로를 해치던 비극적인 일을 반복했다. 그 와중에 주인공의 오빠는 의용군에 끌려갔다가 만신창이가 되어 돌아왔다. 예전의 총명하고 강한 모습은 찾을 수 없었던 오빠는, 사고로 절름발이 신세까지 되었다. 개인의 힘으로는 도저히 통제할 수 없는 상황에서 주인공의 오빠는 자신의 본래의 모습을 잃어버린 것이다. 사실 주인공도 오빠에 비해 나을 바가 없었다. 전쟁이 발발하고 주린 배를 채우기 위해 빈집에 들어가 남은 음식을 훔쳐 먹었던 주인공. 그녀는 살아남기 위해 개인의 자존감 따위는 버려야만 했다.

대혼란 속에서 꿈과 희망이 철저히 짓밟힌 채로, 좌절과 상처만이 남아버린 개인. 주인공과 오빠는, 힘들고 고통스러운 시절을 겪었던 그 시기의 모든 젊은이를 대변한 인물이었다. 험난했던 근현대사를 겪어내던 젊은이들에게는 시큼달큼한 싱아 따위는 그 어디에도 없었다. 위안과 행복은커녕 생존을 위한 싱아마저도 찾을 수 없었던 상황 속에서, 젊은이들는 그 무엇을 할 수 있었을까?

20년 전, 스스로가 불안한 시기를 지내고 있다고 생각했던 나는, 나의 상황과는 비교할 수도 없는 엄청난 상황에 직면한 작품 속 인물들을 보면서 숨이 막혔다.

내가 주인공이었다면 그 상황 속에서 무엇을 할 수 있었을까?’

아무리 생각해보아도 해답을 찾아낼 수가 없었다. 그냥 거대한 소용돌이 속에서 망가지고 상처 입어서 우는 수밖에는 없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주인공은 그러한 상황 속에서도 그냥 주저앉아버리지 않았다. 그녀는 벌레와 같은 고통의 시간을 보냈음에도 불구하고 훗날 글을 써서 시대를 증언하리라고 결심을 해냈다. 겉잡을 수 없는 소용돌이 속에서도 그녀는 중심을 잡아 견뎌내며, 생각의 뿌리를 키우고 있던 것이다. 그 결과 그녀는 비인간적인 일들이 벌어지는 세계 속에서, 인간성의 씨앗을 품어낼 수 있었다.

20년 전 나는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의 주인공을 보면서, 둥줄기를 곧추 세웠다. 그녀와 같이 심오한 이유에서는 아니지만, 나름대로의 견디어낼 이유를 찾아냈다. 그 이후로도 살아가면서 지칠 때마다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가 떠올랐고, 이 책으로 인해 몸과 마음의 상처를 치유할 수 있었다.

그러다가 며칠 전, 나는 또 다시 이 책을 꺼내들었다. 이제는 유년기와 아동기를 지나 청년기를 준비하는 우리 아이에게 이 책을 읽게 해주고 싶어서였다. 이 책은 우리의 아픈 근현대사를 배경으로 하고 있지만, 그것이 철저하게 시대적인 좌절, 상처, 방황이 아니라, 모든 세대를 아울러 공감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그렇기에 이 작품은, 작품이 탄생한지 20년도 더 지난 지금까지도 읽는 이에게 변함없는 감동와 지혜를 주고 있다. 그래서 이 책은 삶에 대한 본질적인 질문을 하는 젊은이에서부터 정신적 양식을 쌓고 싶은 중년에게까지 두루 사랑받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