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카네 집

[ 고등학교 독서 천재 교과서 ] 비판적 읽기 '의견 양극화와 생산적 논쟁' 본문

이카네 공부법

[ 고등학교 독서 천재 교과서 ] 비판적 읽기 '의견 양극화와 생산적 논쟁'

별뜨락 2023. 9. 10. 12:50

    핵심 정리

갈래 논설문 성격 비판적, 서사적
제재 우리 사회의 토론 문화
주제 우리 사회의 의견 스펙트럼의 다양화를 위한 토론과 논쟁의 필요성
특징 - 현실의 문제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그 해결 방안을 제안합니다.

- 대조, 비유 등을 사용하여 독자의 이해를 돕고 설득의 효과를 높입니다.

- 전문가의 견해를 인용하여 주장의 설득력을 높입니다.

 

 

    글의 구성

서론 갈등의 합리적 해결 수단인 논쟁
본론 1. 좋은 논쟁의 의미 : 만남과 부딪침을 통한 갈등 해소

2. 논쟁 부재의 결과 : 의견의 집단 편향과 양극화

3. 우리 사회의 토론 문화의 현실

4. 토론 부재와 논쟁 불능 사회의 부작용
결론 활발한 논쟁의 필요성 - 의견 스펙트럼의 중간층 강화

 

 

    이 글에 사용된 표현방법과 그 효과

대조 논쟁을 갈등을 조장하는 부정적인 것으로 한국인들의 시각과 논쟁의 학습의 도구이자 삶의 방식으로 여기는 서구인들의 시각을 대조적으로 제시함
→ 논쟁의 필요성을 강조
비유 자기만의 목소리에 갇힌 사람들을 메아리 방에 사는 사람, 동종 교배를 하는 존재에 빗댐
→ 논쟁과 소통을 피하는 사람들의 부정적인 모습을 인상적으로 드러냄
인용 다수에 의한 폭력성을 경고한 밀의 견해, 소통과 논쟁을 피하는 사회의 부작용을 언급한 선스타인의 견해를 인용
→ 생산적 논쟁이 필요하다는 글쓴이의 주장을 뒷받침함
질문 '오늘날의 한국 사회는 과연 어떠한가'라는 질문의 형식으로 글을 마무리함
→ 독자들에게 논쟁 부재의 함국 사회, 논쟁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결여된 스스로에 대해 성찰할 것을 유도함
예시 고대 그리스의 수사학과 산파법, 현대 정치에서의 후보자 및 정책 검증 등 논쟁을 적극적으로 호라용한 서구의 사례를 제시
→ 논쟁의 긍정적 기능과 논쟁의 필요성을 드러냄

 

 

    문제 및 정답

[01~04]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한국인들은 대체로 논쟁을 좋아하지 않는다. 자신과 생각이 다른 사람과 부딪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고 반대 의견을 내면 갈등을 조장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적지 않다. 갈등을 품고 삭이고 드러내지 않아야 그릇이 크다고 여긴다.

(나) 우리와 달리 미국이나 유럽 같은 서구인들에게 논쟁은 학습의 도구이자 삶의 방식이다. 고대 그리스에서 소크라테스와 고르기아스가 격렬한 논쟁을 통해 수사학의 정체성을 탐색했고, 소크라테스는 산파법이라고 불리는 변증법적 대화를 통해 진리를 탐구했다. 오랜 역사를 지닌 서구의 정당들은 격렬한 토론을 통해 훌륭한 정책들을 탄생시켜 왔고, 공직 후보자들의 경쟁력을 감별해 왔다.

(다) 좋은 논쟁이란 상호 부딪침이 있는 논쟁을 뜻한다. 그러자면 논점이 팽팽하게 부딪쳐야 한다. 서로의 의견이 갈리는 부분에서 만나 마치 싸움터에서 장수들이 겨루듯 자신의 논리로 상대와 맞서 싸워야 한다.
논쟁이 생산적일 수 있는 이유는 바로 이 만남부딪침에 있다. 서로의 생각이 얼마나 다른지, 어느 부분이 어떻게 다른지는 서로 견주어 봐야 알 수 있는 일이다. 그런 이유로 논쟁은 싸움 같지만 사실은 상호 이해의 장이요, 청중들에게는 즐거움과 교육의 장이다.

(라) 접점에서 만나지 않는 사람들, 즉 다른 의견을 듣지 않는 사람들은 마치 메아리 방에서 살 듯 자신의 소리만 듣고 살 가능성이 크다. 아니면 비슷한 생각을 가진 사람끼리 만나 동종 교배 하듯 서로 동의하며 기존의 입장을 기형적으로 견고하게 다질지도 모른다. 서로 다른 의견을 가진 사람들 각각의 집단 편향 (집단 극화)이나 쏠림 현상이 강화되는 것이다.

(마) 이러한 현상은 인터넷 시대에 들어서 더욱 심화되고 있다. 최근의 각종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전과는 다르게 사람들은 소수의 여론 주도자에게 끌려다니지 않고 자신과 비슷한 생각을 가진 사람들에게 동조하면서 기존의 의견과 입장을 더욱더 강화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사람들의 의견이 극단적으로 나뉘는 현상마저 발생하고 있다.

 

01 (가) ~ (마)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가)와 (나)를 통해 토론과 논쟁에 대한 한국인들과 서구인들의 인식과 태도를 대조하고 있다.

② (나)에서는 서양의 과거와 현재 사례를 통해 논쟁이 끼친 영향을 보이고 있다.

③ (다)에서는 비유를 활용하여 좋은 논쟁의 특징을 설명하고 있다.

④ (라)에서는 비유를 활용하여 자신과 다른 의견을 듣지 않거나 기존의 입장만 강화하는 모습을 비판하고 있다.

⑤ (마)에서는 전문가의 견해를 직접 인용하여 자신의 의견을 견지하는 것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있다.

 

 

 

02 이 글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좋은 논쟁이랑 상호 부딪침 없이 하나로 통일되는 논쟁을 의미한다.

한국인들은 대체로 갈등을 품고 드러내지 않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서구의 정당들은 토론을 통해 공직 후보자들의 경쟁력을 감별해 왔다.

인터넷 시대에 들어 사람들은 기존의 의견과 입장을 더욱더 강화하는 경향을 보인다.

다른 의견을 듣지 않는 현상이 늘어나면 사람들의 의견이 극단적으로 나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03 의 이유로 가장 적절한 것은?

논쟁을 통해 상대방의 의견을 무시할 수 있기 때문에

논쟁을 통해 비슷한 생각을 가진 사람들끼리 의견을 다퉈 뜻을 하나로 모을 수 있기 때문에

논쟁을 통해 소수의 여론 주도자에게 끌려다니지 않고 집단 편향을 이끌어 낼 수 있기 때문에

논쟁을 통해 자신의 생각에 대해 동의를 구하고 기존의 생각을 보다 견고하게 다질 수 있기 때문에

논쟁을 통해 서로의 생각 차이를 확인하고 이해해 궁극적으로는 갈등을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04 글쓴이가 가치를 두고 있는 사회·문화적 이념이 무엇인지 그 이유와 함께 서술하시오.

 

 

<정답>

01
02
03
04 글쓴이는 논쟁을 통해 소통하며 갈등을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사회·문화적 이념에 가치를 두고 있다. 이는 의견이 극단적으로 나뉘는 현상이 토론과 논쟁의 부재에서 왔다고 보기 때문이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