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카네 집

블랙 아이스를 대비하기 위한 방법은? 본문

이카네 일상/데일리 스토리

블랙 아이스를 대비하기 위한 방법은?

별뜨락 2020. 7. 3. 23:34

다음은 안전 관련 공모전에서 수상한 아이디어입니다.





겨울철 블랙 아이스 맞춤형 알림 서비스


블랙 아이스는 겨울철 낮 동안 내린 비 눈이 도로에 스며들었다가 밤 사이 다시 얼면서, 투명한 얼음이 검은 아스팔트 위를 덮는 도로 결빙 현상을 말한다. 해마다 블랙 아이스상습 발생구역에서 발생하는 대형사고가 늘어나고 있는데, 이와 같은블랙 아이스는 특정한 날씨, 시간, 지형 조건에서 빈번하게 발생한다.


날씨 및 시간 조건 : 낮 동안 내린 눈, 비가 녹을 정도 기온이었다가 밤사이 기온이 급격히 낮아질 때 (심한 일교차)

지형 조건 : 그늘진 산모퉁이 지하차도 물가 근처의 도로


따라서 운전자가 블랙 아이스 발생 가능성이 큰 상황에서
(날씨, 시간, 지형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운전을 하게 되면, 운전자의 특성에 따라 맞춤형으로 블랙 아이스알림 서비스가 제공된다.





 

1. 측정

 

2. 조직화

 

3. 적용

대상 지역의 핵심위험을 사전적 정의

 

상습 발생구역의

날씨 시간 정보와

지역의 데이터를

수집

 

운전자의 특성 (일반인, 청각장애자, 보행장애자 등)

 

축적된 데이터를 클라우드에 저장

 

 

측정된 데이터를

해석하여 시스템이나 플랫폼을 구축

 

 

 

GPS + WIFI +

CELL을 기반으로 하는 위치 관제 서비스 적용하여, 상습 발생구역 주변의 움직임, 온도, 위치 등을 모니터링

블랙 아이스 발생 가능한 구간으로 진입하려는 차에게 스마트폰 앱, 알람 정보를 운전자의 특성에 따라 보냄.

블랙 아이스 도로를 우회할 수 있는 방법 또는 블랙 아이스 도로에서의 안전 운전 방법을 안내



스마트폰 앱에서 블랙 아이스 알림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3단계의 과정이 필요하다.


<1단계 : 측정>

블랙 아이스 상습 발생 구역의 날씨, 시간, 지형 조건 정보를 파악하고, 데이터를 수집한다. 데이터를 바탕으로 블랙 아이스 발생 조건을 분석한 뒤 클라우드를 통해 통합하여 저장한다. 또한 운전자의 특성에 따른 운전 환경 데이터를 종합하여 저장한다.


<2단계 : 조직화>

1단계에서 측정된 각종 데이터를 해석하여, ‘블랙 아이스 알림 서비스시스템이나 플랫폼을 구축한다. 위기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비하기 위해, 핵심 연결망을 관리하는 단계이다.


<3단계 : 적용>

블랙 아이스 발생 가능성 도로에 대해 선제적인 대응을 하는 단계이다. 차량이 블랙 아이스가 가능한 구역에 접근하면 운전자의 특성에 따라 스마트폰 앱이 반응한다.(그림, 글자, 소리, 진동 등) 그 후 우회할 수 있는 도로 정보를 운전자의 특성에 맞게 안내한다. (우회 도로 이용 네비게이션 서비스도 포함) 만약 도로를 우회하지 못하는 경우라면, 브랙 아이스 상황에서의 대처방법을 알려 준다.(감속할 것, 핸들을 급격하게 꺾지 말 것 등)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