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베트남 하노이
- 베트남 여행
- 태국
- 대만 타이베이
- 10월 프랑스 날씨
- 베트남 다낭
- 동화
-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 홍콩
- 크리스마스 선물 추천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 천기누설
- 천연인슐린
- 나는 몸신이다
- 3.1운동
- 태국 방콕
- 홍콩 여행
- 태국 푸켓
-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일
- 원소주기율표
- 태국 치앙마이
- 오곡밥
- 미세먼지
- 10월 프랑스 옷차림
- 정지용
- 주기율표
- 몸신
- 싱가포르 날씨
- 3.1운동 100주년
-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Archives
이카네 집
훈민정음 창제 당시 한글의 표기 원칙 본문
훈민정음 창제 당시 한글의 표기 원칙
(1) 자음과 모음을 모아서 씀
- ≪훈민정음≫ 합자해 |
(2) 띄어쓰기 따로 없음
-띄어쓰기를 하지 않음. 왕이나 중국 황제가 글에 등장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띄어쓰기는 쓰이지 않고 언급 없음.
-(당시 한문 인쇄 방식에 따라) 글자는 위에서 아래로, 글줄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씀
(3) 소리 나는 대로 적음
➊ 표음적 표기 (음소주의 표기)
-단어의 형태를 밝혀 적는 현대의 표의적 표기(형태주의 / 형태음소주의 표기) 방법과 달리,
훈민정음 창제 당시에는 소리 나는 대로 적는 표음(음소주의) 방법이 쓰임
훈민정음 창제 당시 | 현대 |
✲ 표음적 표기(음소주의 표기) ➝ 소리나는 대로 적음 예) 갓 |
✲ 표의적 표기(형태주의 표기 / 형태음소주의 표기) ➝ 형태를 밝히어 적음 예) 갗 |
➋ 이어적기 (연철 連綴)
끊어적기 (분철 分綴)를 하는 현대 국어와 달리 <음절의 끝소리 글자가 있는 체언이나 용언 어간 +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나 어미> 만날 때 그 끝소리를 조사나 어미의 첫소리로 넘겨 적는 이어적기를 함
-<용비어천가>2장 |
➌ 8종성법 –끝소리 표기법 (팔종성가족용)
-현대 국어는 음절의 끝소리 규칙에 따라 발음되는 자음의 수에 제한이 있는데, 중세 국어에서도 마찬가지.
-다만 현대 국어와 달리 ‘ㅅ’이 ‘ㄷ’과 변별적으로 끝소리에서 발음되는 것으로 인식
-발음뿐만 아니라 형태 표기에서도 음절의 끝소리(받침) 자리에 8개의 자음을 사용함
➜ 어말에 사용할 수 있는 받침
, ㄱ, ㄴ, ㄷ, ㄹ, ㅁ, ㅂ, ㅅ 으로 제한함
➍ 성조가 있어서 글자 왼쪽에 방점 찍어 성조 표시
※ 성조 : 음절의 높낮이 통해 단어의 뜻을 구별해주는 비분절 음운.
국어의 성조는 16 세기 중엽 흔들리기 시작하여 16세기 말엽 문헌에서 그 표시가 사라졌다.
➝ 성조에 따라 의미 달라짐(의미 구별) |
평성 | 상성 | 거성 | 입성 | |
방점 개수 | 없음 | 2 | 1 | 관계없음 |
특징 | 가장 낮은 소리 예) 밤 |
➚ 처음에는 낮았다가 나중에는 높아지는 소리 예) :눈 (소멸 후 현대 긴소리로 남음) |
가장 높은 소리 예) 𐩐발 |
끝소리가 ‘ㄱ, ㄷ, (ㅅ), ㅂ’ 으로 빨리 끝나는 소리 예) 목, 𐩐입, :낟 |
'이카네 공부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훈민정음언해본 - 해석 및 분석 (2) | 2022.12.21 |
---|---|
중세 국어의 일반적인 특징 (음운, 표기, 문법, 어휘) (1) | 2022.12.20 |
한글의 제자 원리 - 깔끔 요약 정리 (0) | 2022.12.18 |
[천재 교과서] 고등학교 정보 - 프로그래밍 (요약 정리) (1) | 2022.12.17 |
알고리즘 조건 / 알고리즘 설계 / 효율적인 알고리즘 (고등학교 정보 교과서 정리) (0) | 2022.12.16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