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베트남 하노이
- 동화
- 천연인슐린
- 미세먼지
- 10월 프랑스 날씨
- 10월 프랑스 옷차림
- 주기율표
- 나는 몸신이다
- 싱가포르 날씨
- 태국 방콕
- 홍콩 여행
- 태국
-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 베트남 여행
- 3.1운동 100주년
- 태국 푸켓
-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 정지용
- 태국 치앙마이
- 3.1운동
- 원소주기율표
- 몸신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 홍콩
-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일
- 오곡밥
- 대만 타이베이
- 천기누설
- 베트남 다낭
- 크리스마스 선물 추천
Archives
이카네 집
중세 국어의 일반적인 특징 (음운, 표기, 문법, 어휘) 본문
중세국어의 일반적인 특징
✲ 중세국어 전기 : 고려 ~ 한글 창제 전
✲ 중세국어 후기 : 창제 후 ~ 16C 말
(1) 음운
➊ 자음 (+변화)
(옛 이응) | (현대 국어 종성 ‘ㅇ’ 소리) / ŋ / >ㅇ | |
- 중세 국에 : 초성과 종성에서 모두 발음 | -현대 국어 : 종성에서만 실현 | |
(반치음) | /Z/ > 소멸 or ㅅ | |
(여린 히읗) | / ʔ / > 소멸 | |
(순경음 비읍) | /B/ > /W/
|
|
어두자음군 | 중세 국어 어두자음군은 시간 지나 사라졌으며 대부분 된소리로 바뀜 | |
된소리계열 | 중세 국어에서 된소리계열 등장 |
➋ 모음 (+변화)
모음조화 | -양성모음은 양성모음끼리, 음성모음은 음성모음끼리 어울림 양성모음 : •, ㅏ, ㅗ 등 음성모음 : ㅡ, ㅓ, ㅜ 등 -당시에는 ‘•’ 모음이 있어서, 지금보다 모음조화가 더 잘 지켜졌다. |
•소실 ⇩ 모음조화 파괴 |
• (아래 아) |
❋ ㅏ와 ㅗ의 중간음 (후설 저모음으로 발음) 1단계 변화: 16C말, 2음절 이하에서 ‘• > ㅡ ’ 예) ᄀᆞᄅᆞ치다➝ᄀᆞ르치다➝가르치다 2단계 변화: 17C중, 1음절에서 ‘• > ㅏ ’ 예) ➝ 빠르다 |
|
ㅐ, ㅔ | 중세 국어에서는
와 같이 이중모음으로 발음 현대 국어에서는 로 단모음화 |
➌ 성조 (+변화)
- 소리 고저(음절의 높낮이)를 이용해 단어의 뜻 구분, 방점으로 표기
➝ 성조 사라지면서 방점도 사라짐
(2) 표기 (+변화)
중세 국어 | 현대 국어 |
-이어 적기 / 연철 : (소리나는 대로) 이어적기가 일반적으로 사용됨 - 띄어쓰기 사용하지 않음 |
-(형태 밝히는) 끊어 적기 / 분철 -모든 자음을 받침에 쓸 수 있음 |
(3) 문법
➊ 체언 : 중세- 체언과 조사가 결합할 때 체언의 형태가 변하기도 하고, ‘ㅎ’이 나타나기도 함
ㅎ 종성체언 예) 돌(石) : 돌(ㅎ)+이➝ 돌히 / 돌(ㅎ)+과➝ 돌콰
내(川) : 내(ㅎ)+이➝ 내히
ᄉᆞᆯ : ᄉᆞᆯ(ㅎ)+ᄋᆞᆫ ➝ᄉᆞᆯᄒᆞᆫ
➋ 조사
중세 주격조사 |
자음(으로 끝나는 체언) 뒤 이 |
‘ㅣ’이외의 모음(으로 끝나는 체언) 뒤 ㅣ |
‘l’ 모음(으로 끝나는 체언) 뒤 |
* 놈+이➝ 노미 * 大王+이➝大王이 |
(뜻: 하는 바가 있어도) *나+ㅣ➝ 내 *始祖(시조)+ㅣ➝始祖ㅣ |
*비+ ➝ 비 *불휘+ ➝불휘 |
➜ 오늘날 : 자음 뒤에서는 주격 조사 ‘이’를, 모음 뒤에서는 주격조사 ‘가’를 쓴다.
예) 사람이 많다. 친구가 많다.
중세 관형격 조사 |
|
-현대국어 사이시옷과 유사한 역할 |
모음으로 끝나는 일부 체언 뒤 - 臣下 l 말 (신하의 말) - 쇼+l : 소 머리 |
현대 국어 |
유정명사 뒤 (사람, 동물-감정 표현능력 O) - -催최九구 + 의 + 집 ➝최구의 집 |
무정명사 혹은 높임의 의미 지닌 명사 뒤 나라 ㅅ 말ᄊᆞᆷ ➝ 나랏 말씀 |
‘의’만 쓰임 |
부사격 조사 |
에 달•아 ➝현대 국어의 비교 부사격 조사 ‘와/과’ 대신 ‘에’가 쓰임 |
➌ 의문문
판정 의문문 | -가/부(yes,no) 물음 -의문사 X |
‘-아’ 계열 (아/가/여/녀) |
✲ 주어가 2인칭인 경우 ➝ 가 의문형 종결 어미로 쓰임 네 엇뎨 안다(네가 어떻게 알겠니?) |
설명 의문문 | -구체적 대답 -의문사 O |
‘-오’ 계열 (오/고/뇨/료) |
중세국어 | 현대국어 | ||
주체높임 | - 시 - (자음 어미 앞) - 샤 - (모음 어미 앞) |
가시고, 가샤 나ᄅᆞᆯ 겨집 사ᄆᆞ시니 (나를 아내 삼으시니) |
- 시 - |
객체높임 (목적어, 부사어 높임) |
ㄱ, ㅂ, ㅅ, ㅎ + |
|
( 소멸), 특수 어휘 |
ㄷ, ㅈ, ㅊ, + | |||
모음, ㄴ, ㅁ, ㄹ + |
|
||
상대높임 | - 이 - (평서문) | 종결 표현 | |
- 잇 - (의문문) |
(현대어 풀이 : 야수가 (목련에게) 세존의 안부를 여쭙고 말씀하시기를 “무슨 일로 오셨습니까?”)
(4) 어휘
고유어와 한자어의 경쟁 속에서 고유어가 한자어로 대체 | 뫼-산 , -강 , 슈룹-우산 | |
이웃 나라와 접촉 과정에서 중국어, 몽골어, 여진어 등 외래어 유입 | 보라매 | |
단어의 의미 변화 | 의미 확대 | -온 : 백 百 > 전부의, 모두의 -박 : 표주박 > 여러 가지 그릇 -세수 : 손을 씻다 >손과 얼굴을 씻다 |
의미 축소 | -얼굴 : 모습, 형체 > 낯, 안면 -•노•미 : 사람(평칭)>남자 낮추는 의미 - 말ᄊᆞᆷ : 평칭➝ 높임의 의미 |
|
의미 이동 | -어리다 : 어리석다 > 나이 적다 -어엿비 : 가엾다, 불쌍하다 > (어)예쁘다 |
|
어휘 소멸 | - 젼•ᄎᆞ : ‘까닭’이라는 뜻으로 현재 소멸 - ‘시러’는 ‘능히’라는 뜻으로 현재 소멸 ᄉᆞᄆᆞᆺ디 |
'이카네 공부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별의 정한' 표현한 작품 비교 (가시리 / 서경별곡 / 진달래꽃) (0) | 2022.12.22 |
---|---|
훈민정음언해본 - 해석 및 분석 (2) | 2022.12.21 |
훈민정음 창제 당시 한글의 표기 원칙 (0) | 2022.12.19 |
한글의 제자 원리 - 깔끔 요약 정리 (0) | 2022.12.18 |
[천재 교과서] 고등학교 정보 - 프로그래밍 (요약 정리) (1) | 2022.12.17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