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카네 집

훈민정음언해본 - 해석 및 분석 본문

이카네 공부법

훈민정음언해본 - 해석 및 분석

별뜨락 2022. 12. 21. 12:23

훈민정음언해본   -세조 5(1459)

 

-1446년 세종 대왕 명으로 집현전 학자들이 훈민정음에 대한 해설서인 <훈민정음해례본>을 간행 (창제 의의와 원리, 운용법 등 담음) <훈민정음해례본>은 한문으로 쓰였는데, 그 중 예의부분만 한글로 풀이한 것이 <훈민정음언해본>어지


-<훈민정음 언해본>에서 알 수 있는 한글 창제 목적 : 한자로는 백성들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글로 써 소통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모든 사람들이 쉽게 익혀 편안하게 쓸 수 있도록 한글을 창제함


훈민정음 창제 정신

자주정신 나라의 말이 중국과 달라
애민정신 내가 이것을 가엾게 생각하여
창조정신 새로 스물여덟 자를 만드니
실용정신 쉽게 익혀 나날이 씀에 편안하게 하고자

 

 

(세종 어제 훈민 정음: 세종이 만드신 훈민정음)

-동국정운식 표기 :현실 한자음과는 거리(비현실적, 이상적)

한자 표기시 모든 글자 초𐩐𐩐종성 갖추려 함

- 모음으로 끝난 음절 아래에 ㅇ붙이거나, 초성에
, 이어적기
(나라의 말이(말소리가))

말ᄊᆞᆷ : 의미

(중국과 달라)

현대 국어 비교 부사격 조사 : /
) 나는 너 달라

(글자(한자)와 서로 통하지 아니하므로)

ᄉᆞᄆᆞᆺ디
소멸된 어휘
중세국어 구개음화 X 통하지(현대 구개음화)
기본형 ᄉᆞᄆᆞᆾ다 : 8종성법

 

 

<참고> 구개음화

, + l , [해도l ] [해도지]

-중세국어 ㅈ, ㅊ이 구개음이 아닌 ㅅ계열의 치음 치음 계열이 구개음으로 바뀌며 구개음화

 

 

 

 


(이런 까닭으로 어리석은 백성이)

(이르고자(말하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

(마침내 제 뜻(말하고자 하는 바)을 능히 (얻어)펴지)

모음조화
+

시러 : ‘능히라는 뜻으로 소멸
(못하는 사람이 많으니라.)

❋ •
+ (주격조사)
의미의 축소: 사람(평칭) > 사람 낮추는 의미
이어적기
<오늘날 표기법에 따라 쓰면 놈이’>
(내가 이것을 위하여 가엾게 생각하여(불쌍히 여겨))

(새로 스물여덟 자를 만드노니)

(사람마다로 하여금 쉽게 익혀)

명사형 전성어미 뒤에도 조사 가능
명사형 전성어미 (/)
(현대국어는 ()/씀에: ++)
(나날이 씀(사용함))

- :사용하다
- : (글씨를 쓰다)
<참고> 명사형 접미사 vs 명사형 전성어미
(편안하게 하고자 할 따름이니라)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