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10월 프랑스 날씨
-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일
- 홍콩 여행
- 베트남 여행
-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 동화
- 3.1운동 100주년
- 천연인슐린
- 태국 치앙마이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 베트남 다낭
- 10월 프랑스 옷차림
- 오곡밥
- 싱가포르 날씨
- 홍콩
- 태국
- 나는 몸신이다
- 주기율표
- 크리스마스 선물 추천
- 3.1운동
- 태국 방콕
- 베트남 하노이
- 정지용
- 미세먼지
- 천기누설
- 태국 푸켓
- 몸신
- 대만 타이베이
- 원소주기율표
이카네 집
난중일기 독후감 본문
아래 글은 난중일기를 읽은 후, 독후감을 작성한 어느 초등학생의 작품입니다.
얼마 전 동생과 함께 영화 한 편을 보았다. 영웅들이 모여서 세계를 침략하는 악당들을 무찌르는 영화였다. 영화가 끝난 뒤 내동생은 이런 말을 했다.
“형! 영웅들이 진짜 대단하지 않아? 사람들을 괴롭히는 악당들을 용감하게 무찌르다니!”
영화의 주인공에게 감탄한 동생은 큰소리로 말했다.
“그런데 형! 영화에서 봤던 영웅이 이 세상에는 없겠지?”
내동생은 머리를 긁적이며 나를 힐끔 쳐다보았다. 그때 나는 얼마 전 읽었던 ‘난중일기’가 떠올랐다. 난중일기를 읽고 난 뒤 이순신 장군의 행적과 생각에 큰 감동을 받았던 게 생각났다.
난중일기는 임진왜란 이후에 이순신 장군이 쓰신 일기이다. 난중일기에는 이순신 장군이 나라와 백성을 얼마나 사랑했는지 나타나 있다. 일기 속에 나타난 이순신 장군의 여러 가지 행동과 생각들. 그건 모두 이순신 장군이 나라와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에서부터 나오는 거라고 생각했다.
난중일기에서 돋보이는 이순신 장군의 행동은, 무기와 배를 철저하게 점검한 것이다. 이순신 장군은 배를 수리하지 않은 군관에게는 벌을 주었다. 활, 갑옷, 투구, 화살통 등이 깨지고 못쓰게 된 것을 보았을 때는 책임자를 크게 꾸짖기도 했다.
왜군으로부터 나라를 지켜내려고 애썼던 이순신 장군이 망가진 무기와 배를 보고 얼마나 속이 상하셨을까? 나라와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이 컸던 만큼, 이순신 장군은 괴로움이 컸을 것이다.
또한 이순신 장군은 목숨을 걸고 왜적과 싸웠다. 임진왜란이 발생하고 나서, 임금마저 한양에서 탈출하고, 도망을 치는 장수들도 많았다고 한다. 나였다면 과연 어땠을까? 왜군이 무서운 기세로 몰려오고 있는데, 그 앞에서 당당히 맞설 수 있었을까? 이런 생각을 하고 있는데, 난중일기의 한 대목이 눈에 쏙 들어왔다.
임진년 5월에 있던 일이었다. 이순신 장군은 전투에서 왜적들의 기세가 만만치 않다고 느꼈다. 하지만 이순신 장군은 장수들을 독려하고 일제히 달려들어 총포를 쏘아댔다. 그러자 기세등등하던 적들이 무서워서 도망을 간 것이다. 놀라운 일이었다. 나라와 백성을 사랑하는 이순신 장군의 마음이 전투에서도 승리할 수 있게 한 것 같다.
난중일기를 읽다가 가슴이 뭉클해지기도 했다. 모함으로 억울하게 옥살이를 한 끝에 백의종군한 이순신 장군. 그런 이순신 장군은 전투를 준비하던 중 슬픈 소식을 들었다. 어머니께서 돌아가시고, 아들 면이 왜적과 싸우다가 전사한 것이다. 난중일기에서 이순신 장군은 어머니의 죽음을 생각하니 마음이 미어진다 했다. 또 아들의 전사 소식을 듣고 가슴이 철렁 내려앉아 그 자리에서 목 놓아 통곡했다고 하였다.
이순신 장군의 마음이 얼마나 아팠을까? 보통 사람이었다면 그 자리에서 주저앉아 아무 것도 못 했을 것이다. 그러나 이순신 장군은 굳세게 일어나서 우리나라를 지켜냈다. 그것도 나라와 백성에 대한 사랑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영화 속 영웅이 이 세상에는 없을 거라던 내동생. 나는 동생에게 이순신 장군에 대해 이야기를 해주었다. 무기와 배를 철저하게 점검하고, 목숨을 바쳐 왜군과 싸웠으며, 절망적인 상황에도 쓰러지지 않았던 이순신 장군을. 그랬더니 내동생의 얼굴이 환해졌다.
“우리나라에도 진짜 영웅이 있잖아!”
나는 활짝 웃는 동생을 보며 다짐했다. 난중일기에 대해 동생에게 더 많은 이야기해 주어야겠다고 말이다.
'이카네 공부법 > 초등학교 글짓기 예시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간이 느끼는 감정 (0) | 2019.11.30 |
---|---|
우리의 강사범님 (0) | 2019.11.29 |
축제의 재발견 (0) | 2019.11.17 |
교실에서 다함께 글짓기를 (0) | 2019.11.15 |
학교에 마음을 넣어두다. (0) | 2019.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