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홍콩
- 베트남 다낭
- 주기율표
- 태국 푸켓
- 대만 타이베이
- 동화
- 태국 치앙마이
- 3.1운동
- 미세먼지
- 싱가포르 날씨
- 나는 몸신이다
- 오곡밥
- 태국 방콕
- 태국
- 3.1운동 100주년
- 홍콩 여행
- 천연인슐린
-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 천기누설
- 베트남 하노이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 베트남 여행
- 몸신
- 10월 프랑스 날씨
- 원소주기율표
- 정지용
- 크리스마스 선물 추천
- 10월 프랑스 옷차림
-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일
목록이카네 공부법 (353)
이카네 집

중세국어의 일반적인 특징 ✲ 중세국어 전기 : 고려 ~ 한글 창제 전 ✲ 중세국어 후기 : 창제 후 ~ 16C 말 (1) 음운 ➊ 자음 (+변화) (옛 이응) (현대 국어 종성 ‘ㅇ’ 소리) / ŋ / >ㅇ - 중세 국에 : 초성과 종성에서 모두 발음 -현대 국어 : 종성에서만 실현 (반치음) /Z/ > 소멸 or ㅅ (여린 히읗) / ʔ / > 소멸 (순경음 비읍) /B/ > /W/ 어두자음군 중세 국어 어두자음군은 시간 지나 사라졌으며 대부분 된소리로 바뀜 된소리계열 중세 국어에서 된소리계열 등장 ➋ 모음 (+변화) 모음조화 -양성모음은 양성모음끼리, 음성모음은 음성모음끼리 어울림 양성모음 : •, ㅏ, ㅗ 등 음성모음 : ㅡ, ㅓ, ㅜ 등 -당시에는 ‘•’ 모음이 있어서, 지금보다 모음조화가 더 잘..

훈민정음 창제 당시 한글의 표기 원칙 (1) 자음과 모음을 모아서 씀 - ≪훈민정음≫ 합자해 (2) 띄어쓰기 따로 없음 -띄어쓰기를 하지 않음. 왕이나 중국 황제가 글에 등장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띄어쓰기는 쓰이지 않고 언급 없음. -(당시 한문 인쇄 방식에 따라) 글자는 위에서 아래로, 글줄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씀 (3) 소리 나는 대로 적음 ➊ 표음적 표기 (음소주의 표기) -단어의 형태를 밝혀 적는 현대의 표의적 표기(형태주의 / 형태음소주의 표기) 방법과 달리, 훈민정음 창제 당시에는 소리 나는 대로 적는 표음(음소주의) 방법이 쓰임 훈민정음 창제 당시 현대 ✲ 표음적 표기(음소주의 표기) ➝ 소리나는 대로 적음 예) 갓 ✲ 표의적 표기(형태주의 표기 / 형태음소주의 표기) ➝ 형태를 밝히어 적음..

한글의 제자 원리 (1) 상형(象形)의 원리 - 일정한 형상의 모양을 본떠서 각 글자를 만듦. 正音二十八字, 各象基形而制之. (정음 28자는 각각 그 모양을 본떠서 만들었다.) - ≪훈민정음≫ 제자해 ➀ 발음 기관을 상형한 자음 -자음의 기본자는 발음 기관의 모양을 본떠서 만듦. -상형의 원리로 인해 ‘ㄱ, ㄴ, ㅁ, ㅅ, ㅇ’ 모양이 들어간 글자가 어떤 발음상의 특징이 있는지 그 모양으로 알 수 있음. ㄱ 여린입천장소리 (어금니소리?) -아음 象舌根閉喉之形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모양 ㄴ 잇몸소리 (혓소리?) -설음 象舌附上槽之形 혀가 윗잇몸에 붙은 모양 ㅁ 입술소리 -순음 象口形 입 모양 ㅅ 잇소리 -치음 象齒形 이 모양 ㅇ 목청소리 -후음 象喉形 목구멍 모양 ➁ 천지인(天地人)을 상형한 모음 -모음..

1. 컴퓨터 프로그래밍 ➊ 용어 이해 프로그램 (문제 해결 위한 처리 방법과 순서를 논리적으로 정리하여)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명령문의 집합(명령어의 모음)으로 구성한 것 프로그래밍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프로그램을 만드는 과정 검색 엔진 -인터넷에서 자료를 쉽게 찾을 수 있게 도와주는 소프트웨어 𐩐생활 속 다양한 프로그램이 내장된 (컴퓨터, 스마트 손목시계, 스마트 안경, 스마트폰, 자율주행차)는 우리 생활을 편리하게 해줌 ② 프로그램 만드는 과정(프로그래밍) 문제 이해하고 분석하기 주어진 문제를 정확히 이해 𐩐 분석하여 추상화, 구조화 과정 통해 문제 해결 방법 찾는다. 2. 알고리즘 설계하기 문제 해결 방법에서 핵심 요소와 규칙성 찾아 논리적인 순서로 정리하여 표현 3. 프로그램 작성하고 실행하..

알고리즘 ➊ 알고리즘 𐩐알고리즘 : 문제 해결 절차(과정)를 논리적 순서로 설명하거나 표현(기술하여 표현)하는 문제 해결 절차나 방법 ➝알고리즘 조건 ➀입력 ➁출력 ➂명확성 ④유한성 ⑤수행 가능성 알고리즘의 5조건 입력 외부에서 제공되는 0개 이상의 입력이 필요하다. 출력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결과)이 있어야 한다. 명확성 각 명령이나 연산자들은 모호하지 않고 명확해야 한다. 유한성 해당 알고리즘의 명령대로 수행하면 한정된 단계를 처리하고 반드시 종료되어야 함 수행 가능성 모든 명령은 명백하게 실행이 가능해야 함 숫자 게임 알고리즘에서 알고리즘 조건 찾기 게임을 시작한다.(점수=0점) 30초의 제한 시간이 주어진다. 0부터 9까지의 숫자를 순서대로 찾는다. 숫자를 순서대로 찾을 때마..

지하철 노선도 단순화하기 초기 노선도 너무 많은 정보 전달해 복잡해서 알아보기 힘듦 헤리 백(Harry Beck), 현재 지하철 노선도 -시각적으로 단순하게 표현 (선과 기호만으로) -장점 : 한눈에 목적지 𐩐 방향 볼 수 있어 편리하게 사용 -최단 시간 알고리즘, 최소 환승 알고리즘 등 이용해 원하는 지점으로 이동 ⇩ 그래프: 데이터와 데이터의 관계를 선으로 연결하여 표현한 구조. 해리 벡(Harry Beck)의 지하철 노선도와 같이 역과 역을 선으로 연결해 표현한 구조를 말함 문제 이해𐩐분석 및 핵심 요소 추출 ➊ 용어 정리 문제 ➀해답을 요구하는 질문 또는 ➁해결하기 어려운 일 문제 해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 또는 행동 ➝문제 해결 과정에 따라 서로 다른 결과 얻을 수 있고, 문제 해결 방법..

문제의 구조화 ➊ 문제의 구조화 구조화 (모델링) 문제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내용 요소들을 정리 및 배열하여 통일된 조직으로 만드는 과정 (표와 그림 등으로) 문제 구조화 장점 -문제 요소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내용 요소 간의 관계를 쉽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예) 쓰레기 버리는 문제 1. 표를 이용한 구조화 - 중복되는 내용을 정리하여 효율적으로 정보를 표현하고 관리할 수 있다. 예> 시간표, 공연 좌석 배치 문제, 좋아하는 간식 선택하기 사탕 아이스크림 케이크 과자 선우 o o o 태영 o o 민철 o o 2. 그림을 이용한 구조화 -복잡한 문제를 도형, 기호, 그래프, 트리 등의 그림으로 간단하게 표현한다. ‘트리’란? 한 지점에서 상하 관계에 의해 여..

1. 컴퓨팅 시스템의 구성과 동작 ➊ 용어 이해 컴퓨팅 시스템 컴퓨터나 스마트폰 같은 하드웨어와 이를 동작하게 하는 소프트웨어의 모음을 말함 하드웨어 컴퓨팅 시스템을 구성하는 물리적인 장치 의미 소프트웨어 -컴퓨팅 시스템으로 처리되는 모든 정보와 프로그램을 의미 -하드웨어의 어떤 문제를 처리할 수 있도록 지시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모음(집합) 컴퓨팅 컴퓨터를 이용해 수행하고자 하는 모든 활동 컴퓨팅 시스템 활용 스마트 손목시계 이용 건강 관리, 자율 주행 자동차, GPS 이용 길 안내 시스템 등 주변 장치 컴퓨터와 연결되어 입력, 출력을 담당하거나 확장된 기능 제공하는 장치 하드웨어 입력 기능 컴퓨터 외부의 자료(문자, 소리, 그림 등)를 입력 장치를 통해 컴퓨터 내부로 읽어 들임 마우스, 키보드, 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