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미세먼지
- 크리스마스 선물 추천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 베트남 여행
-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 정지용
- 태국 방콕
- 태국 치앙마이
- 베트남 하노이
- 동화
- 태국
-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 오곡밥
- 대만 타이베이
- 나는 몸신이다
- 베트남 다낭
- 10월 프랑스 옷차림
- 천연인슐린
- 주기율표
- 3.1운동 100주년
- 3.1운동
- 10월 프랑스 날씨
- 홍콩 여행
- 천기누설
- 싱가포르 날씨
-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일
- 원소주기율표
- 태국 푸켓
- 홍콩
- 몸신
목록분류 전체보기 (1419)
이카네 집
'시상전개방식'이라고 들어보셨나요? 국어 개념 공부를 하거나 문제 풀이를 할 때, '시상', '시상 전개', '시상 전개 방식'이라는 말을 많이 들어보셨을 거예요. 하지만 그 개념을 정확하게 익히지 못해, 문제를 풀 때마다 혼동스러운 경우가 있으실 텐데요, 여기에서 시상 전개 방식의 의미와 여러 가지 시상 전개 방식을 알아볼 테니, 이번 기회를 통해 '시상 전개 방식'의 개념을 탄탄히 만들어보셨으면 합니다. '시상'이란? 시상 : 시의 내용을 이루는 감정, 태도, 내용, 주제를 '시상'이라고 합니다. -시의 앞부분을 가리키면서, '시상을 불러일으켜~' 와 같은 해설이 따라붙기도 한답니다. -시의 마무리 부분에서는 '시상을 마무리하면서~'와 같은 해설이 따라붙기도 해요. -시상의 전환 : 시의 내용, 정서..
시를 읽을 때, 어떤 시는 혼자서 중얼거리는 듯한 문장 (화자가 화자 스스로에게 이야기하는 방식)으로 표현되어 있고요~ 또 어떤 시는 청자가 설정되어 있어서, 서로 이야기를 주고받는 방식으로 표현되어 있어요. 듣는 이가 없이 혼자서 자기에게 말하는 방식이 독백체이고요, 두 사람이 서로 이야기를 나누는 방식이 대화체이랍니다. 아래 시에서는 화자 '나'가 직접 나타나 있는데요, 화자 혼자서 말하는 독백체로 표현되어 있다는 걸 알 수 있어요. '쉽게 씌어진 시' -윤동주 창 밖에 밤비가 속살거려 육첩방은 남의 나라. 시인이란 슬픈 천명인 줄 알면서도 한 줄 시를 적어 볼까. 땀내와 사랑내 포근히 품긴 보내 주신 학비 봉투를 받아 대학 노트를 끼고 늙은 교수의 강의 들으러 간다. 생각해 보면 어린 때 동무들 하..
1. 제안 배경 기업은 재화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우리 사회의 경제적인 성장에 원동력이 되어 왔습니다. 또한 기업은 이익을 다양한 방면에 사용하면서 우리 사회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왔습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현재 우리 사회에는 기업의 성장을 저해하는 반기업 정서가 팽배해 있습니다. 기업이 부패했다는 그릇된 생각과, 기업의 경영자가 타락했다는 오해는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더욱 확산되고 있습니다. 각종 미디어에서 생산되는 TV 드라마, 영화만 해도 부정부패한 기업의 모습을 자극적으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반기업 정서는 기업 자체의 발전뿐만이 아니라 국민 개개인과 사회의 발전에까지 발목을 잡고 있다는 것을 사람들은 알고 있을까요? 우리는 우리 사회의 건강한 발전을 위해서라도 기업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바로잡..
대구법과 반복법은 어렵지 않은 개념이지만, 너무 쉽게 생각한 나머지 개념을 정확히 알고 있지 않으면 이와 관련된 문제를 푸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가 있어요. 대구법과 반복법이 무엇인지 정확히 알고, 예를 통해 개념을 더욱 또렷하게 하시길 바라는 마음에서 '대구법의 뜻과 예시 vs 반복법의 뜻과 예시'를 살펴보도록 할게요. 대구법의 뜻 대구법은 비슷하거나 같은 문장이, 문구를 나란히 배치하는 표현법이에요. 대구법을 사용하면 문장이 변화하는 중에도 안정감이 느껴진답니다. 대구법 예시 그럼 대구법의 다양한 예시를 살펴보면서, 대구법의 개념을 더욱 깊이 이해해 볼까요? 아래 문장을 보시면, 같은 통사 구조(문장 구조)를 나란히 연결하여 대구가 이루어지고 있어요.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 -범은 ..
시 속에서 화자는 자신의 감정과 정서를 드러내는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가 있습니다. 단순히 슬프다, 그립다, 기쁘다 등으로 직접적 표현할 수도 있지만, 좀더 세련된 방법으로 객관적 상관물이나 감정 이입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드러낼 수가 있는 것이죠. 그럼 객관적 상관물과 감정이입이 무엇인지 한 번 살펴보도록 할게요. 객관적 상관물 '객관적 상관물'을 처음 사용한 사람은 노벨상을 수상하기도 했던, 미국의 작가 토머스 S. 엘리엇이에요. 엘리엇은 일상생활에 있어서 개인의 정서와 문학 작품에 구현된 정서의 절대적 차이를 강조하면서 '객관적 상관물'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는데요, 그 이후 '객관적 상관물'이라는 말은 문학의 개념을 나타내는 용어가 되었답니다. '객관적 상관물'은 화자의 정서를 대변해주는 대상물, ..
시에서 첫 부분과 마지막 부분을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배치하는 방법을 수미상관이라고 합니다. 간혹 '수미상관' 대신 '수미쌍관', '수미상응'이라는 말을 쓰기도 하죠. 첫 부분과 마지막 부분이 완전히 똑같지 않아도 비슷해도 수미상관을 이룰 수 있고요, 첫 부분과 마지막 부분이 호응을 이루어도 수미상관을 이룰 수가 있답니다. 수미상관의 효과 수미상관이 쓰였을 때, 시에서는 어떤 효과가 나타날까요? 1) 앞부분과 마지막 부분이 반복이 되기에 수미상관이 쓰인 시에서는 운율감이 느껴진답니다. 2) 같은 내용이 두 번씩이나 나타나므로, 내용상 강조의 효과가 나타납니다. 3) 형태적으로 처음과 끝부분이 동일하다보니, 안정감이 느껴질 수밖에 없어요. 다시 말해, 시에서 수미상관이 사용되면 운율, 강조, 안정감이라는 세..
일요일 문여는 치과를 찾으세요? 바쁜 평일을 피해 여유가 있는 일요일에 치과 진료를 보려는 분들이 종종 계십니다. 하지만 일요일은 평일에 비해 문을 여는 치과가 많지 않아, 치과 진료를 보려는 분들께서 어려움이 많으실 거예요.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경기도 성남, 안산, 시흥, 고양, 광명, 광주, 부천, 포천, 이천의 일요일 진료 치과를 동네별로 한 눈에 알아보기 쉽게 정리했습니다. 1. 성남 1) 수정구 2) 중원구 2. 안산 1) 단원구 2) 상록구 3. 시흥 4. 고양 5. 광명 6. 광주 7. 부천 8. 포천 9. 이천 1. 성남 일요일 치과 진료 ---------------------------------- 1) 수정구 일요일 진료 치과 우리가족치과의원 언제 문을 여나요? 1, 2, 3, 4, ..
시의 운율이란 무엇일까요? 시의 운율이란, 시를 읽었을 때 느껴지는 가락을 말하는데요, 시를 읽으면 마치 노랫가락처럼 느껴지는 건, 바로 시의 운율 때문이랍니다. 그렇다면, 시의 운율은 어떨 때 형성이 될까요? 한 마디로 말해, 시의 운율은 '반복'에서 형성이 되는데요, 이제부터 시의 운율이 형성되는 반복에 대해 좀더 자세하게 살펴볼게요. 운율을 만드는 방법- 반복 1. 동일 음운의 반복 음운이란, 말의 뜻을 구별해주는 소리의 단위인데요, 여기에서 음운이 반복된다는 건, 자음이나 모음이 반복된다는 걸 말해요. 예) '청산별곡'에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라는 후렴구가 있지요? 이 후렴구를 보면 ㄹ과 ㅇ이 반복되면서 운율을 형성하고 있답니다. 2. 동일 음절의 반복 보통 시에서 말하는 음절은 글자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