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미세먼지
- 태국
- 천연인슐린
- 베트남 여행
- 태국 방콕
- 3.1운동 100주년
- 원소주기율표
- 10월 프랑스 옷차림
- 베트남 하노이
- 태국 치앙마이
- 주기율표
- 크리스마스 선물 추천
- 오곡밥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 베트남 다낭
- 싱가포르 날씨
-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일
- 홍콩 여행
- 나는 몸신이다
- 동화
- 천기누설
- 대만 타이베이
-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 태국 푸켓
- 3.1운동
- 정지용
-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 홍콩
- 10월 프랑스 날씨
- 몸신
이카네 집
지방 통제력을 강화한 통일 신라와 발해 본문
1. 신라의 삼국 통일
(1) 과정 : 고구려의 수·당 격퇴, 백제·고구려 연합해 신라 공격
→ 나당 동맹 체결(648) → 나당 연합군의 백제 사비성 함락(660)
→ 고구려 평양성 함락 (668)
→ 당과 전쟁 벌여 당 축출, 삼국 통일 (676)
(2) 통일 전후 왕실 변화 : 통일 과정에서 진골 출신 태종 무열왕 즉위, 이후 무열왕 직계 자손이 왕위 계승(진덕 여왕을 끝으로 성골 사라져 진골 출신 김춘추 왕위에 오름. 이후 혜공왕에 이르기까지 무열왕 후손들이 왕위 계승)
→ 무열왕·문무왕의 왕권 강화
→ 신문왕은 김흠돌의 난(신문왕의 장인이었던 김흠돌이 파진찬 흥원, 대아찬 진공 등과 반역 도모) 계기로
진골 귀족들 숙청하여 강력한 왕권 확립
2. 통일 이후 신라의 통치 체제 정비
(1) 중앙 통치 체제 : 강력한 왕권 아래 관료제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정비
-왕의 직속 기구로 집사부를 두었고, 집사부 장관인 시중(중시) 역할 강화,
-사정부·외사정 등 감찰 기구 설치(관리 부정과 비리 단속),
-국학 설립(유학 교육, 왕에게 충성하는 인재 양성),
-진골 세력 약화되고 6두품 세력 역할 강화(왕의 정치적 조언, 중앙행정 실무 담당)
관료제 | 신문왕 문무 관리에게 관료전 지급, 녹읍(지급 받은 토지에 대한 수조권 + 노동력 징발 가능) 폐지·녹봉 지급 → 귀족 세력 약화 (수조권이란? 토지에서 조세 거둘 수 있는 권리 의미. 관리들에게 수조권 주고 관리가 직접 징수) |
골품제 | 통일 이후에도 골품제 유지되어 관료제 운영 제약 → 하지만 3두품 이하의 골품 구분은 점차 사라짐 |
왕경 (왕이 사는 수도)의 호칭 : 금성 → 금경 · 대경 (지방과 구분) 궁성을 크게 넓혀 왕실의 위상 높였다. |
(2) 지방 통치 제도 : 9주 5소경 체제로 정비, 상수리 제도 실시해 지방 세력 견제
9주 | -전국을 9주로 나누고, 그 아래 군과 현 -왕은 군현에 지방관 파견 |
|
5소경 | 지방 행정의 요충지에 설치하여 수도 금성이 동남쪽에 치우친 점 보완, →지역의 고른 성장 도모, 고구려 유민·백제 유민의 빠른 정착 지원 |
|
기타 | •향 · 부곡 : 특수 행정 구역 •촌 : -여러 마을을 촌으로 삼고, (여러 개의 촌을 군현으로 삼았다) -지방관 통제 아래 촌주가 행정 담당 -촌주에게 3년 마다, ‘신라 촌락 문서’ 작성하도록 → 신라 정부가 조세와 노동력 거두는 데 활용) |
(자료) 통일 이후 신라의 지방 통치 방식
① 상수리 제도 문무왕의 이복동생 거득공이 민정 시찰하기 위해 무진주에 이르니 주의 향리 안길이 그를 극진히 대접...안길은 나라에서 실시한 제도(매년 각 고을의 관리 한 사람이 금성에 있는 관청으로 올라오게 하는 제도)에 따라 금성으로 올라왔다. 안길이 거득공을 찾아가자 거득공이 잔치를 베풀었다. |
② 신라 촌락 문서 일본 도다이샤 쇼소인에 소장된 ‘화엄경론’의 경질을 수리하는 과정에서 발견. 인구는 6등급 파악, 가호는 9등급 파악 |
-촌주를 수도에 머물게 함 -목적 :(통일 이후 고구려, 백제 세력 포용하면서-자습서) 지방 세력 견제 |
촌주가 조사한 항목 및 이유 : 촌락의 인구, 가축의 수, 토지의 종류와 면적, 과실나무 수 등 조사 →신라 정부가 조세와 노동력 거두는 기본 자료 |
통일 이후 신라가 정비한 지방 통치 방식 : 상수리 제도를 시행하여 지방 세력을 통제하고 촌락의 토지, 인구, 토산물 등을 조사하여 수취의 근간으로 삼았다. |
3. 신라 말 지배 체제의 동요
(1) 정치적 동요 : 8세기 후반 혜공왕 피살 후 진골 귀족들의 왕위 쟁탈전 발생(웅주 도독, 김헌창이 자신의 아버지가 왕위에 오르지 못하자 반란, 청해진의 장보고도 중앙의 왕위 쟁탈전에 가담)→ 상대등의 권력 다시 강화, 귀족 연립에 의한 국정 운영 / 6두품 세력의 반신라적 성향(이유: 진골 귀족의 권력 독점과 골품에 따른 관직 승진의 한계로 자신의 능력 펼칠 기회를 얻지 못해서)
(2) 사회 흔들리자 흥덕왕 : 사치 풍조 금지하고 골품에 따라 차등 둔 생활 양식 지키도록 규제
<참고: 흥덕왕 교서 -흥덕왕 교지를 내려 말하였다... 백성이 다투어 사치와 호화를 일삼고, 진기한 외래품만 좋아한 나머지 순박한 우리 것 싫어한다. ... 법령을 선포하노니 이를 어기면 형벌을 내릴 것>
(3) 사회 혼란 : 정부의 무거운 조세 수취, 귀족들의 농민 수탈→ 농민 봉기, 지방 호족 성장(스스로 성주·장군을 칭함, 지역의 행정·군사에 대한 실질적 통치력 행사)
(3) 후삼국의 성립 : 유력 호족이 후백제, 후고구려 건국, 신라가 후삼국으로 분열
4. 발해의 성장과 멸망
(1) 발해의 발전
건국 | 대조영이 고구려 유민, 말갈인을 이끌고 만주 동모산에서 건국 (698), 고구려 계승 의식 |
발전 | 무왕: ‘ 인안 ’ 연호 사용, 당·신라 견제, 당의 산둥 지방 공격 |
문왕: ‘대흥’ 연호. ‘대왕’, ‘황상’ 칭호 사용, 당과 우호 관계 맺음, 새로운 수도 상경성(당의 장안성 본떠)건설 | |
선왕: 최대 영토 확보, 중국으로부터 ‘해동성국’으로 불리며 전성기 이룩 | |
멸망 | 10세기경 동아시아 정세 변화에 대응하지 못해 국력 쇠퇴→거란에 멸망(926) |
(2) 발해의 통치 체제 정비
① 중앙 통치 체제 :
당의 3성 6부제 기반으로 정비했지만, 명칭과 운영에서 독자성
- 왕 아래 정당성, 선조성, 중대성 둠.
- 정당성 아래 6부를 둘로 나누어 관할
- 6부 명칭에 유교 이념 반영
② 지방 행정 제도: 5경 15부 62주로 정비, 도독·자사 등 관리 파견,
촌락의 우두머리(수령)를 중앙 지배층으로 받아들이거나 촌락 행정 맡김
남북국 시대 : 신라 북쪽에 발해 건국되면서 신라와 발해가 양립하는 남북국 형세→실학자 유득공 주장 |
'이카네 공부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 흥선대원군의 개혁 정치- 경복궁 중건, 서원 철폐, 서원 철폐 등 (0) | 2022.04.22 |
---|---|
[한국사] 제국주의 열강의 동아시아 침략과 각국의 모습 (0) | 2022.04.20 |
중앙 집권적 고대국가로 발전한 삼국 (고구려, 백제, 신라)-총정리 (0) | 2022.04.16 |
선사 문화와 고조선, 여러 나라의 성립 (부여, 옥저, 동예, 삼한 / 삼국, 가야) (0) | 2022.04.13 |
수행평가 시낭송- 시낭송 하기 좋은 시, 배경음악, 시낭송할 때 유의할 점 (4) | 2022.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