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원소주기율표
- 크리스마스 선물 추천
- 싱가포르 날씨
- 오곡밥
- 베트남 여행
- 천연인슐린
- 천기누설
- 3.1운동
- 주기율표
- 10월 프랑스 날씨
- 베트남 다낭
- 몸신
- 동화
- 베트남 하노이
- 태국 푸켓
- 대만 타이베이
- 10월 프랑스 옷차림
-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일
- 태국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 정지용
- 태국 치앙마이
-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 홍콩 여행
- 태국 방콕
- 3.1운동 100주년
- 나는 몸신이다
-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 미세먼지
- 홍콩
목록이카네 공부법 (353)
이카네 집

인용 표현 자신 또는 다른 사람의 말이나 생각을 자신의 말이나 글 속에 끌어 쓰는 것 직접 인용 다른 사람의 말이나 글을 그대로 옮긴 것 하원이는 내게 “지금 상황이 꿈만 같아.”라고 말했다. 간접 인용 ·말하거나 쓰는 사람의 입장에서 재해석하여 표현→큰따옴표 X ·대명사를 바꾸어 사용하는 것도 있으니 주의 연이는 내가 우승할 것 같다고 말했다. ▍직접 인용이 간접 인용으로 바뀔 때 ① 조사 ‘(이)라고’ → 조사 ‘고’ ② 인용절의 종결 어미 바뀜 : 어미를 ‘다(평서), 자(청유), 냐(의문), (으)라(간접 명령)’ ✎ 이때 명령문의 간접 인용을 조심! ·직접 명령 : 어간 + 어라 / 아라 → “과학자가 되어라”라고 ·간접 명령 : 어간 + (으)라 → 과학자가 되라고 책을 많이 읽어라..

교술 -문학의 갈래. 실제 사실의 바탕 위에 세계를 객관적으로 표현하는 양식으로 ①수필 ②서간 ③일기 ④ 비평 등 1) 수필 자기의 경험을 성찰하거나 특정한 대상을 관찰하고 이를 통해 얻게 된 깨달음을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로이 담아낸 글 ① 작가 = 서술자 (화자) = 나 ② 신변잡기적 ③ 자유로운 형식 ④ 경험 → 깨달음 (경험과 고백의 문학, 교훈과 성찰의 문학) ⑤ 주제 : 직접적 전달 (간접 전달X) ⑥ 주관적 = 개성적 (객관적X) ▪수필과 소설 비교 수필 소설 공통점 ① 산문 문학 ② 삶에 대한 통찰 닮고 있다 (깨달음, 교훈 줌) 차이점 ① 글쓴이가 직접 경험한 내용 ② 글 속의 ‘나’가 화자(서술자) 자신 ③ 글쓴이가 자신의 생각(주제)을 직접적 서술 ④ 형식 자유로움 ① 글쓴이가 상..

피동 표현 동작주 (행위주)에 따라 능동 주어가 동작을 제힘으로 하는 것 ↕ 피동 표현 (주어가 당함) 파생적 피동 이히리기 –되다(피동접사 1) 용언 어간 + 피동 접사 결합 쓰다 → 쓰이다 / 뽑다→ 뽑히다 / 풀다 → 풀리다 / 안다 →안기다 2) 일부 명사 + 피동 접사 붙어 실현 체포되다, 연결되다 통사적 피동 1) 용언 어간 + 결합 밝다 → 밝혀지다 이루어지다, 드러나게 되다 탈행동적 피동 : 분명한 동작주 상정 어려운 경우 사실이 드러나게 되다, 날씨가 풀렸다, 옷이 못에 걸렸다, 마음이 진정되었다 도둑이 경찰에게 잡혔다. (잡-+-히-+-었-+-다) 동생이 벌레에게 물렸다. (물-+-리-+-었-+-다) 사냥꾼이 토끼를 잡았다. → 토끼가 사냥꾼에게 잡히었다(잡..

소프트웨어도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받는 저작물임. 소프트웨어의 불법 복제는 저작권자의 권리를 빼앗는 행위이므로 정당한 대가를 지불해 사용해야 한다. 1. 소프트웨어 저작권 보호제도의 필요성 (1) 소프트웨어 저작권 - 문제 해결에 대한 사람의 생각을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일련의 명령으로 표현한 창작물이며,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 온라인상에서 쉽게 사용·수정·배포·복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 정당한 대가를 지불하여 사용권 구입 후 사용 - 소프트웨어 저작권 보호되면 소프트웨어 가치가 제대로 평가받아 국내 소프트웨어 개발 및 투자 활성화, 기업 수익이 늘어나 관련 일자리도 늘게 됨 프트웨어 자작권 보호 기간 : 저작자 생존 기간 및 사후 70년 간 2. 사용 허가권에 따른 소프트웨어 (1) 라이선스(Licen..

인터넷상 수많은 정보 확산되면서 이용자 동의 없이 개인 정보가 유출되고 있다. 개인 정보가 침해되었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1. 정보 보안의 필요성 (1) 정보 보안 : 불법적인 접근으로부터 정보 및 정보 시스템과 관련된 자원들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 (2) 정보 보안의 필요성 : 악성 소프트웨어, 스팸 메일 등으로 발생한 정보 유출은 사생활 침해 뿐만 아니라 경제적으로도 치명적 손해 끼칠 수 있으므로 정보 보안 대책 마련 필요 사례 1: 국내 여행사 해킹 공격으로 회원 개인 정보 100만 건 유출 국내 최대 여행사가 해킹 공격으로 100만여 건에 달하는 개인정보가 유출되었다. 유출된 개인 정보는 이름, 휴대전화 번호, 주민등록번호, 집 전화번호, 주소, 이메일 주소 중 일부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1. 정보 보호와 정보 공유 인터넷에 떠도는 사진도 촬영한 사람에게 저작권이 있다. 하지만 개인의 허락 없이 사진을 인터넷에 올리는 것은 개인 정보 침해에 해당한다. → 정보 사회에서는 인터넷 통해 수많은 정보가 빠르게 유통되고 넓게 전달됨 → 개인 안전과 사회 안정 위해 공유해야 할 정보와 보호해야 할 정보를 구분하여 활용해야 함 1) 공유해야 할 정보 vs 보호해야 할 정보 ·재난 정보나 교통 정체 정보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등 통해 빠르게 공유되어 다른 지역 사람들에게 유용한 정보가 됨 ·많은 사람들이 정보 공유하면서 기존 정보를 더욱 가치있게 만듦 예) 병원 진료 시간, 버스 도착 시간 정보, 인터넷 사기 피해 정보, 어떤 지역의 태풍 피해 정보 개인의 중요한 정보를 인터넷에 공유할 경..

1. 시간 표현 시 제 과거 시제 ·사건시가 발화시보다 앞섬 *선어말 어미 :-았-, -었- / -았았-, -었었-, -였었 / -더(회상) 예) 나는 어제 달을 보았다. 예) 이곳에 물건을 두었었다. 예) 너는 노래를 잘 부르더라. *관형사형 어미 - 동사 : -(으)ㄴ, -던 예) 이것은 이미 읽은 책이다. -형용사, 서술격 조사 : -던 (회상 선어말어미 ‘-더-’ + 관형사형 어미 -(으)ㄴ) * 시간 부사어 : 어제, 옛날 등 현재 시제 ·사건시와 발화시가 일치 *선어말 어미 : ㄴ- , -는- 예) 잔다, 먹는다 *관형사형 어미 -동사 :는 예)그는 의사인 아버지를 자랑스러워했다. - 형용사, 서술격 조사 :-(으)ㄴ * 시간 부사어 :지금, 오늘 등 미래 시제 tip 관형사절을 안은 문장 ·..

높임 표현 말하는 이가 어떤 대상이나 듣는 이에 대하여 그의 높고 낮은 정도에 따라 언어적으로 구별을 하여 표현하는 방식이나 체계. 높임의 대상에 따라 (1) 주체 (2) 객체 (3) 상대 높임으로 나뉨 (1) 주체 높임법 → 서술어의 주체(주어) 높임 직접 높임 · 주격 조사 ‘께서’ , 접사 ‘님’ + 선어말 어미 ‘-(으)시-’ ⇕ 구분 특수한 어휘 (계시/다 ⇠ 있다 주무시/다 ⇠ 자다 잡수시/다 편찮(으시)다. / 돌아가시다 말씀, 댁, 진지, 연세, 춘추, 성함, 치아, 댁 할아버지가 집으로 온다. → 할아버지께서 집으로 오신다. 간접 높임 ·주어와 밀접하게 관련된 대상을 높여 주어를 간접적으로 높임 · ‘-(으)시-’는 높여야 할 주체가 주어와 밀접한 관련 맺는 경우 → 간접 높임은 특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