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일
- 태국 방콕
- 싱가포르 날씨
- 미세먼지
- 태국
- 크리스마스 선물 추천
- 정지용
- 천기누설
- 몸신
-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 동화
- 태국 치앙마이
- 나는 몸신이다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 3.1운동
- 원소주기율표
- 주기율표
- 베트남 다낭
- 베트남 하노이
- 대만 타이베이
- 오곡밥
- 베트남 여행
- 홍콩
- 3.1운동 100주년
- 10월 프랑스 옷차림
- 태국 푸켓
-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 10월 프랑스 날씨
- 홍콩 여행
- 천연인슐린
목록이카네 공부법 (351)
이카네 집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TvVEm/btspH1MO4GE/BLwBmsxsV6rO0M3HXOsaK0/img.png)
도시 빈민의 궁핍한 삶 통해 1970년대 급격한 산업화 폐회와 자본주의 사회의 구조적 모순 고발 내용 정리 갈래 현대 소설, 연작 소설(12편 중 하나), 세태 소설 성격 비판적(고발적), 성찰적, 상징적 주제 도시 빈민들의 궁핍한 삶과 좌절 시점 1인칭 주인공 시점 →이 작품은 각 부마다 작품 안 서술자 달라짐 배경 𐩐시간적 배경 : 1970년대 (산업화) 𐩐공간적 배경 : 낙원구 행복동 (재개발 지역) 특징 짧은 문장(단문)을 사용해 인물들의 처지나 상황을 제시: 시적 느낌, 해석 여지 넓혀줌 서정적 문체 ‘난쟁이’, ‘행복동’, ‘달나라’ 등 상징적 소재 활용해 주제 강조 작품을 세 부분으로 나누어 서술자 변화 동화적(선과 대결 구조/ 난쟁이 / 달나라), 환상적 표현 철거 예정 지역의 현실과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T6gis/btsoDIH8Wwc/WuJRGkkoRYa2c82sDiNKwK/img.png)
윤동주의 일반적인 특징 윤동주 - 일제강점기 ‘저항 시인’ - 현실 ≠ 이상 → 괴리감 - 반성/고뇌 + 부끄러움 + 성찰 - 현실적 자아≠이상적 자아→자아분열 - 독립에 대한 희망, 의지 '별 헤는 밤' 내용 정리 갈래 현대시, 자유시, 서정시 성격 회상적, 상념적(사색적), 성찰적, 의지적, 상징적 주제 ①아름다운 과거에 대한 그리움과 ②자기 성찰 및 ③미래에 대한 희망 특징 - ‘가을-겨울-봄’의 계절 변화가 ‘과거(그리움)-현재(반성)-미래(희망)’로 이어지면서 시상이 전개 ‘현재→과거→현재→미래’의 시간적 흐름에 따라 시상 전개 -계절의 특징을 활용하여 현실 상황의 변화를 표현 -어머니에게 이야기하는 듯한 형식 사용해 애틋한 서정을 섬세하게 드러냄 - 경어체 - 고백적 어조(고백하는 형식) -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cWddA/btsn6JaFok6/TvWkPxG6pjkT0PrkWqwpnk/img.png)
내신을 대비하여 김소월의 '산유화'를 공부하시는 분들을 위해, 아래와 같이 작품 분석한 내용을 정리해 놓았습니다. 김소월 : 1920년대 대표 시인. 전통적 정서 + 전통적 운율[율격] 민요조 서정시 1920년대, 근대 서정시에 민요의 정서+율격 계승 → 서구 근대시 넘어 한국 근대 문학의 전통을 세움 𐩐민요와 공통점 : 전통 운율, 반복적 표현, 소재의 지역성, 향토성 등 𐩐민요와 차이점 : 개인이 창작 작품 소개: ‘산유화’는 ‘산에 (피어)있는 꽃’. 깊은 산 속에 외로이 피어 있는 꽃 한 송이를 보고 시인은 꽃이 피고 지는 과정 떠올리며 존재의 근원적 고독 인식/ 내용과 형식의 유기적 연결 갈래 현대시, 자유시, 서정시 성격 민요적, 전통적, 관조적 주제 존재의 근원적인 고독 짜임 -1연 ..
고전소설 '최척전'을 공부하시는 분들을 위해, 최척전의 작품해설, 내용분석, 줄거리 등을 정리해서 올려놓습니다. 갈래 군담 소설, 애정 소설, 한문 소설 ‘최척전’은 일반적인 고전소설과 다름 ① 전지적 작가 시점 ② 우연성 (필연성X) ③ 전기 소설(전기적: 이상하고 기이) -비현실적, 환상적 예)도술, 용궁 ④ 배경은 중국이나 조선 시점 전지적 작가 시점 성격 불교적, 우연적 (필연성X) - 역사적 사실 배경; 임진왜란, 정유재란 현실을 살아가는 인물 - 사실적 : 전기적X, 영웅적 일대기X 주제 전란으로 인한 가족의 이산과 재회 (사랑 및 가족 공동체 질서 복원) 특징 ‘만남-이별-재회’ 반복 하나의 문제 해결되면, 또 다른 문제 등장하는 서사 구조 전란으로 고통받던 백성(가족의 이산)들의 모습이 사..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VB80e/btsnpT42IJg/YuicXnmB68qzT49KbKI6O0/img.png)
박인로의 '누항사' 작품을 공부하시는 분들을 위해, 누항사 작품 해셜 및 현대어 풀이 자료를 올려 봅니다. -누항: 『논어』 ‘가난 속에서도 학문에 힘쓰며 도를 추구하는 즐거움을 즐기는 공간’ 따라서 ‘누항사’에서 ‘누항’이란, 선비로서의 고절한 삶을 살고자 하는 신념과 궁핍한 현실의 부조화가 단적으로 드러난 말 갈래 양반 가사, 은일 가사, 정격 가사 성격 전원적, 사색적, 사실적, 고백적 제재 안분지족의 삶, 빈이무원의 삶 주제 누항에 묻혀 사는 선비의 곤궁한 삶과 안빈낙도 추구, 빈이무원하며 충효, 화형제(우애), 신붕우(신의)를 나누는 삶 추구 특징 운명론적 가치관 객관적 상관물 자연에 은일하면서도 현실의 어려움을 직시하는 삶 임진왜란 직후의 궁핍한 삶(실생활)을 사실적 표현 (대화체, 일상 언어..
1. 내용 정리 갈래 현대소설, 단편 소설 성격 회상적, 성찰적, 사실적 성격 자기 정체성에 대한 고민과 극복 특징 -과거와 현재, 꿈과 현실의 교차가 나타남 -'나'의 무화적 차이, 정체성에 대한 고민 등 디아스포라로서의 삶에 대한 성찰이 담김 -중국 잡지 '장백산'에 발표된 후 한국에서 출판된 같은 이름의 소설집에 수록 2. 비유 - 분화의 위기에 놓인 두 마리의 도룡뇽 ☞ '나'와 연주 사이를 비유한 것. 민족성 측면에서는 닮아 있지만 살아온 공간, 사회, 역사적 배경이 달라서 같은 시각으로 함께 현실을 해석할 수 없음 -한 배경 속에서 살고 있는 오리와 닭 ☞ 닝과 '나' 사이를 비유. 동일한 공간에서 동일한 시간을 살아와 시대 및 배경을 충분히 공감할 수 있지만, 민족성과 문화가 달라 가장 개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eSs9Z/btsj5QSljmv/Qa0kkQlvSk5Q5sYW4uSXA0/img.png)
배드민턴 복식 경기는 2명의 선수가 한 팀을 이루어, 총 4명이 겨루는 경기인데요, 개인의 능력만이 아니라 팀워크가 얼마나 잘 이루어져 있느냐에 따라서 승패가 달라질 수 있는 경기랍니다. 하지만 아무리 개인의 역량이 뛰어나고 팀워크가 좋다고 해도, 배드민턴 복식 경기의 방식을 이해하지 못하면, 좋은 경기 진행을 할 수가 없는데요~ 여기에서는 배드민턴 복식 경기를 배워나가시는 분들을 위해, 배드민턴 복식 경기의 서비스 허용 범위, 득점 허용 범위, 서비스 방법에 대해 정리해 보도록 할게요. 이 내용들은 배드민턴 복식을 배워나가는 데에도 필요하긴 하지만, 중학교나 고등학교에서 체육 수행평가 혹은 논술 평가를 위해서도 알아두어야 할 필요가 있기도 하죠. 따라서 학생 여러분들께서 체육 수행평가나 논술 평가를 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eIv4y4/btsj50zOhue/tax80lipDxk8RFkp338kn0/img.png)
고등학교 영어 내신으로 부교재를 사용하는 곳이 많은데요, 부교재 중에서 '비상 단기특강 구문편'을 공부하시는 분들을 위해, 7강 한줄 해석 워크북을 준비해 보았습니다. 이 글의 맨 아래쪽으로 가시면, 파일도 다운로드하실 수 있습니다. 비상 단기특강 구문평 7강 1. The most detailed knowledge we have of megalith construction comes from Easter Island, where descendants of the prehistoric people who created the 30-foot-tall statues demonstrated their ancestors’ techniques. 우리가 거석 건설에 대해 알고 있는 가장 상세한 지식은 이스터 섬에서 ..